查看完整版本: [-- 南陽房氏 族譜 --]

房氏文化、房氏网、中华房氏网、天下无二房、房氏宗亲网、房氏、房姓 -> 家谱汇集 -> 南陽房氏 族譜 [打印本页] 登录 -> 注册 -> 回复主题 -> 发表主题

admin 2016-03-01 11:54

南陽房氏 族譜

韩国南阳房氏大同谱谱样

    房元震,字而省, 号晚悟,是朝鲜后期的一名义兵,本贯龙城, 1583年,年仅16岁的他,有感于以南阳为本贯的东土房氏谱书散佚、各为一支,遂以 房遗爱 第九代孙、三韩壁上功臣、三重大光辅国 房季弘 三支后代中的一支,修订了《南阳房氏谱》(草谱),后经南阳房氏热心后人逐步补充、完善扩大到房季弘三支后代的全部,直到1907年,韩国房氏所修家谱仍全部为繁体汉字。后韩官方语言改成韩文后,1984年重修版和1997年重修版的韩国《南阳房氏大同谱》,新加的序跋则全部采用摘要中文与完整韩文的对照本(当地南阳房氏已无精通古汉字和汉语的人士)。

1592年,房元震和梁大璞一起起兵。1627年,正户庙兰时,他在号召使金长生的部下,以召募官的身份进行征兵。1636年又起兵,一直打倒xx山,但后因谈判,结果为不再征战,于是征兵最终解散。




  • 图片:韩国南阳房氏谱图样.jpg [删除]



以下为房大源宗亲整理所成:
1. 남양방씨 족보 南陽房氏 族譜

1. 족보族譜의 유래

  족보族譜는 선조先祖들의 사적史蹟과 그 혈통血統을 수록收錄한

   씨족사氏族史로서 자자손손子子孫孫 영원히 전승傳承할 가보家寶      이다.

  족보族譜의 기원起源은 중국中國 육조六朝시대 북송北宋의 대문장가     大文章家인 소순蘇洵 3부자父子(소식蘇植,소철蘇徹)가 만든 것을      표본標本으로 하여 우리나라에서는 안동권씨安東權氏 성화보成化譜     (1476년)와 문화유씨文化柳氏의 가정보嘉靖譜(1506년)가 처음이다.

  족보族譜는 혈통血統을 실증實證한 계보系譜로써 부계父系중심의

   혈연血緣관계를 기록記錄한 것으로 처음에는 가승내외보家乘內外譜     입고조도入高朝圖에서 비롯되어, 17세기부터 개인個人이 속하는

   씨족집단氏族集團의 공동계보共同系譜로 발전한 가문家門의 역사

   歷史로써, 이것이 곧 대동보大同譜이다.

  우리나라 성씨姓氏의 유래由來는 왕王은 국호國號를 따라 칭성稱姓     했으나, 서민층庶民層은 고려중기高麗中期 문종조文宗朝(1055년)

   이후에 성姓을 갖게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신라新羅때 신화성神話姓으로 박.석.김.朴昔金 3성姓과

   그후 6부촌장部村長에 사성賜姓(王이 내림)한 이.최.정.손.배.설.

   李崔鄭孫裵薛의 6부성部姓이 있고, 그후 사성賜姓으로 안.남.권.어     安南權魚씨 등과 외래성外來姓 (홍.방.길洪房吉씨등)인 중국계

   中國系가 있으며, 외국인外國人이 귀화歸化한 성姓도 있다.

   옛 성씨姓氏의 유래由來는 처음 단군檀君시대 예맥濊貊의 군장君長     인 여수기余守己의 아들이 국정國政에 공功이 많아 성姓을 주어,

   서徐라고 한데서 유래由來한다고 하는데, 차차 많은 성姓이 생겨      고려高麗때는 본관本貫까지 구분하였다 한다


2. 방씨세보의 발간 房氏世譜의 發刊


우리 가문家門의 세보世譜는 남원南原에서 주 편제主編制 된 것으로

인조경진보仁祖庚辰譜 (1640년 만오공晩悟公 방원진房元震 編纂)초보,

숙종계유보肅宗癸酉譜 (1693년 서주공西州公 방두재房斗載 편찬編纂),

숙종기축보肅宗己丑譜 (1709년 노동공鷺洞公 방태근房泰根 편찬編纂),

정조무술보正祖戊戌譜 (1778년 방길모房吉摹 편찬編纂),

헌종병오보憲宗丙午譜 (1846년 방익상房翊相 편찬編纂),

고종무자보高宗戊子譜 (1888년 방준일房濬馹 편찬編纂),

융희갑인보隆熙甲寅譜 (1914년 방용규房容圭 편찬編纂)등의

                              7차 파보派譜와

기묘대동보己卯大同譜 (1939년 방형규房衡圭 편찬),

경자대동보庚子大同譜 (1960년 방극성房極星 편찬),

갑자대동보甲子大同譜 (1984년 방인원房仁源 편찬),

무인대동보戊寅大同譜 (1998년 방대엽房大燁발행, 방승혁房乘爀편집)

                              4차례의 大同譜을 發刊하였다.



무인보戊寅譜에서는 전6권全六卷으로 등재된 종친宗親은, 남관男冠

  5,350, 남동男童 6,200, 여관동女官童 8,550명 이며,

보첩譜牒은 수편首編에 역대보 서,발,행장,묘갈 歷代譜 序跋行狀墓碣

  을 수록하고, 권卷1에 한림공翰林公파, 제학공提學公파,  권卷2에

  창평공昌平公파, 만호공萬戶公파, 봉사공奉事公파, 사직공司直公파,

  권卷3에 사계공沙溪公파, 권卷4에 한성공漢城公파, 금서공錦西公파,

  진사공進士公파, 권卷5에 의춘군宜春君파, 학생공學生公파로 편제

  編制 되었으며,



상계上系의 고증考證에서 고려사高麗史에 수재收載된 인종仁宗

  갑인甲寅(1134년) 장군將軍 방자수房資守, 명종明宗 병신丙申

  (1176년) 선주宣州 방서만房瑞彎, 명종明宗 정사丁巳(1177년)

  급제及第 방연보房衍寶, 신종神宗 경신庚申(1200년) 경주부유수

  慶州副留守 예부시랑禮部侍郞 방응교房應喬, 별장別長 방수房守,

  신종神宗 임술壬戌(1202년) 장군將軍 방수정房秀精, 공민왕恭愍王

  갑인甲寅(1374년) 군기윤軍器尹 방지용房之用등의 고려조高麗朝의

  선조先祖들을 발현發顯하였으나,

경주부유수慶州副留守 방응교房應喬는 년대年代, 관직官職등이

의춘군宜春君 손孫 규珪로 고증考證되었을 뿐 6人의 실체實體를 규명

  糾明치 못하고, 각위各位의 행적行蹟을 수편首編에 수록收錄하였고,

  전남全南 고흥高興 소재所在 방정승묘房政丞墓의 실체實體를 족보

  族譜에 수록收錄치 못해 안타까움을 기록하였으니,

  바라건데 현명賢明한 후손後孫들이 태어나 사적史蹟분야 연구에

  노력하여 이를 규명 보첩譜牒에 수록되기 바람.


3. 비조 鼻祖 (휘諱  준俊)



동래東來하신 비조공鼻祖公은 고구려高句麗에 학사學士로서 입국入國   하신 휘諱는 유예遺愛, 자字가 준俊인데 당태사唐太師 문소공文昭公

방현령房玄齡의 제2子로 태어나, 당태종唐太宗의 제17황녀皇女인

고양공주高揚公主의 부마도위駙馬都尉가 되어 작위爵位가 태사경太師    卿에 이르렸다.

서기643년(정관貞觀17년)계묘癸卯 3월에 고구려高句麗 보장왕寶藏    王의 주청奏請으로 팔학사八學士 (은개산殷開山의 子 세통世通 홍 수

洪琇의 子 천하天河, 위징魏徵의 조카 지고知古의 子 혁奕, 목륜睦倫   의 子 충种, 길봉덕吉奉德의 子 위偉, 봉공奉珙의 子 비伾, 기남필奇   男必의 子 모牟)의 한 분으로 피선被選되어 동방東方에 오셔서 도학   道學과 예학문물禮學文物을 가르치고, 문화文化를 창달暢達하시면서   남양南陽 (지금의 화성군華城郡)에 세거世居하셨기에 관향貫鄕을

  남양南陽으로 받았다고 한다.

  (남양관향지南陽貫鄕誌및 당성사적보존회唐城史籍保存會의 문헌文獻    에 기록記錄되어 있으며, 현 경기도京畿道 화성군華城郡 서신면西新    面 상안리尙安里 山32번지에 문화공보부文化公報部 제217호로 당성    사적지唐城史蹟地로 지정指定됨 1971.4.15)

  * 남양南陽은 경기도京畿道 화성군華城郡에 위치位置한다. 원래는       고구려高句麗 당성군唐城郡이었는데,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이

    당은唐恩으로 고쳤고, 고려 현종玄宗 9년 영천永川에 속하였으며      명종明宗때 비로소 감무監務를 두었다.

    충선왕忠宣王2년에 지금 이름으로 고쳤다가, 조선조朝鮮朝 태종

    太宗13년에는 도호부都護府를 두었다.

    그 이후 변천을 거듭하다가 한때에는 인천仁川 관할管轄이 지금은

    수원水原에 합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다.



    방씨성房氏姓의 유래由來는 이에 관련되었으니,

    즉 공公의 상계上系 혈통血統은 요堯임금의 아들 단주丹朱를 방房      이라는 고을에 후候로 봉封하였는데, 이곳은 지금의 제주수평蔡州      遂平인 옛날 오吳나라의 방현房懸이 곧 이곳이다.

    (통지通志 씨족략氏族略에 국호國號로써 씨氏를 삼았다는 기록)

    그 후 초楚가 오왕吳王 부개夫槪를 이곳에 봉封하였으므로 이곳을

    오방吳房이라 칭하였다. 단주丹朱가 능陵을 낳았는데 불행히 방국      房國이 망하니, 후손들이 그나라 이름 房으로 성씨姓氏를 삼았다.

    또 옥인씨屋引氏가 방房씨로 개성改姓한 일파一派가 있는데           이들은 당시 위魏나라 사람이니 결국 이 파派는 위魏나라 姓이다.



    이렇게 수천년을 연면해 내려오다가 당태종唐太宗(이세민李世民)      때 문소공文昭公 방현령房玄齡님이 계셨다.

    구당서舊唐書66권과 당서唐書96권의 기록에 의하면 방현령房玄齡      님은 제주濟州(현 산동성 現 山東省) 임치인臨淄人으로 서기578년      에 태어났다.

    증조曾祖는 익翼이요, 조祖는 웅熊이며, 부父는 언겸彦謙이다.

    자字는 교喬이며, 시호諡號는 문소공文昭公으로,

    (구당서舊唐書에는 휘諱는 喬요, 字는 현령玄齡이라고 기록됨)

    어려서부터 총명하였고, 경사經史를 널리 읽어 문장文章에 능했으      며 초서草書와 예서隸書가 명필名筆이었다.

    출천지효자出天地孝子였고, 선견지명先見之明하여 수隋나라의 망

    亡할것을 예언하여 적중했고, 당태종唐太宗이 진왕秦王으로 있을      때부터 문소공文昭公께서 정책政策을 건의하면 받아 들임은 물론

    신임信任이 두텁고 친밀했다.

    唐太宗으로 즉위한 후 公의 작위爵位는 위국공魏國公으로 봉封

    했으며,11년에 송주자사宋州刺史, 다시 양국공梁國公으로 封해졌      고, 노년老年에는 사공司空에 특진特進하기 까지 했다.

    두여회杜如晦와 함께 정사政事를 다룰 때는 책략策略은 방현령

    房玄齡, 집행執行은 杜如晦가 하니 후세後世 사가史家들은

   「방모두단房謨杜斷」이라 칭稱했다.

    정략가政略家이면서 경사대가經史大家로서 황명皇命을 받들어,

    진서秦書 全130卷을 완간完刊하였다. 황제皇帝는 公을 황족皇族과

    같이 예우禮遇했고, 사후死後에는 태종묘정太宗廟廷에 배향配享

    되었다.

    배위配位는 노씨부인盧氏婦人으로 장자長子는 유직遺直이요, 字는      필佖인데, 적자嫡子라 해서 은청광록대부銀靑光祿大夫를 제수除授      받고, 영휘년초永徽年初에 예부상서禮部尙書가 되고, 변주자사汴州      刺史가 되었으며, 차자次子 유애遺愛는 字가 준俊이온데 태종太宗      의 제17황녀皇女인 고양공주高陽公主의 부마도위駙馬都尉가 되어

    태부경太傅卿에 이르렀고, 계자季子 유칙遺則은 중상대부中散大夫      로 태종太宗의 이복동생異腹同生인 형왕원경의 서婿가 되었다.

    준공俊公의 처妻인 고양공주高陽公主는 태종太宗의 총애寵愛를 받      음을 기화로 방자하고 요염하여 부군夫君은 안중에 두지도 않고,      홍복사의 학승學僧 변기와 통정通情하다가 탄로나서 정부情夫변기      는 요참腰斬당했고, 公主에게는 가택연금령家宅軟禁令이 내려지자      이에 불만을 품고, 국권주도자國權主導者인 장손무기長孫無忌를       보복하고, 부황父皇에 대하여는 반역反逆을 꾀하는데 여기에 꾀임      을 당하여 준공俊公과 제15황녀皇女 단양공주의 부마駙馬인 설만      철, 태종太宗의 제7황녀皇女 북경공주의 부마駙馬인 시영무등이       반역죄反逆罪로 처형處刑을 당하게 되었다.

    여기서 당시 상황狀況을 주목할 사안事案이 있는데 고관대작高官      大爵의 아들이요 부마駙馬일지라도 국법國法은 엄중하므로 백성百      姓들에게는 처형處刑시킨 것으로 알리면서 실제로는 대리인代理人      을 거금巨金을 주고 사서 처형자를 바꿔치는 제도가 당대唐代에

    있었다

    (인하대중국사학자 만경선생 고증仁荷大中國史學者 晩耕先生考證)

    이때는 문소공文昭公 방현령房玄齡님께서 막강한 직위職位와 황제      皇帝의 신임信任이 두터운 위치였기에 억울하게 처형處刑될 자식

    子息 준俊을 속수무책 방관하고 있지 않았을 것임은 분명하고,

    때마침 동양東洋의 선진국先進國인 당唐나라에는 주변국의 문학사      文學史 파견주청派遣奏請이 많았던 때였으므로 준공俊公을 외국外      國으로 내 보낼 수 있는 절호의 기회이기도 했으며, 준공俊公께서      는 고양공주高陽公主와의 파경破鏡으로 인생을 새 출발해야 했고,      상술한 당조唐朝내부의 긴박한 피신避身 필요성이 복합하여 동국

    고구려 東國 高句麗에 다른 학사學士들과 함께 파견派遣되었음이      역사문헌歷史文獻과도 합치合致되는 정설定說이다.

    (준공俊公의 반역죄反逆罪의 누명이 후일에 벗겨져 복권復權

     되었음이 중국교환교수들이 고증考證함)    

    우리 고대역사서古代歷史書와 씨족사적氏族史蹟등이 무수한 외침

    外侵으로 소실되고 약탈당하여 고증考證할 문헌文獻들이 없어,

    수보修譜하신 선조先祖들께서 부득이 경진보庚辰譜부터 계속된

    족보발간族譜發刊시에 시조始祖를 고려개국공신高麗開國功臣인

    계홍委弘님을 고구려高句麗때 동래東來하신 팔학사八學士의 일원      一員으로 오기誤記하다가 갑인보甲寅譜를 편찬編纂하신 성제惺齊      방용규房容圭님께서 시조공란始祖公欄 안설문按設文을 통하여

    고구려高句麗로 동래東來하신 방씨房氏 비조鼻祖는 학사공學士公      위諱 준俊이라고 기록만 했고, 그후 계속된 수보修譜때도 명기하      지 않아 시조공始祖公에 대한 혼돈이 있었기 무인보戊寅譜 편찬編      纂에서는 고려정사高麗正史와 구당서舊唐書, 당서唐書등의 문헌文      獻자료에 근거해 비조鼻祖를 준俊으로 기록하고,

    계홍季弘님을 우리 방씨房氏의 시조始祖로 기록하였다.  

4. 시조始祖 (휘諱 계홍季弘)

   고구려高句麗 보장왕寶藏王의 주청奏請으로 홍학사洪學士 은열殷悅     과 더불어 피선被選되어, 동東으로 오셔 관향貫鄕을 남향南陽에 사     賜하셨고, 관官은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     輔國에 이르렀다고 기재記載되었다.

   그러나 이 행적行蹟중 보국공輔國公(위諱 계홍季弘)의 관직官職만  

   은 틀림이 없고, 다만 고구려왕高句麗王의 주청奏請으로 동래東來

   하여 관향貫鄕을 사賜하신 행적行蹟은 보국공輔國公의 9대조

   九代祖 학사공學士公 휘諱 준俊의 행적行蹟이 틀림없다.

   비조鼻祖(휘 준諱 俊)이후 9代까지 祖上님의 이름과 항렬行列(소목     昭穆)과 사업,행사등에 대해 고증考證할 만한 문헌文獻을 병화兵火     속에 잃어 버렸으니, 역사歷史에도 빠진 글이 있다는 뜻과 같이

   가히 기록할 수가 없다.

   10대에 이르러 계홍季弘이라는 조상님이 고려개국벽상공신高麗開國     壁上功臣으로 벼슬은 삼중대광보국三重大匡輔國에 이르렀으니 시조

   始祖가 되시는 분이다.

   다음 갑인보甲寅譜(1914년) 안설문(按設文) (휘諱 용규容圭 호號

   성제선생惺齊先生이 밝힌)을 보면,

   삼가 살피건데 홍충평공洪忠平公 관灌의 문집文集중에 의하면 당唐     정관貞觀17년(서기643년) 계묘癸卯 3월에 당태종唐太宗이 은개산     殷開山의 子 세통世通, 홍수洪琇의 子 천하天河, 방현령房玄齡의 제     2子 준俊, 위징魏徵의 질姪 지고知古의 子 혁奕, 목륜睦倫의 子 충     种, 길봉덕吉奉德의 子 위偉, 기님필寄男必의 子 모牟, 봉공奉珙의

   子 비伾등의 팔학사八學士를 파견派遣하여 고구려高句麗에서 예악     문물禮樂文物을 가르쳤는데, 자손子孫들은 그로부터 남양南陽에 살     고 있었다고 한다. 또 가로되 홍천하洪天河의 11손孫인 은열殷悅이     방계홍房季弘및 은홍열殷洪悅로 더불어 모두 고려개국공신高麗開國     功臣이 되었다 하니 우리 시조始祖와 은씨가문殷氏家門의 대수代數     는 몇 代라고 말하지는 아니 하였으나,

   창평공昌平公(휘諱 응청應淸) 비문碑文(1594년 子 德驎 書)에 왈曰     보국공輔國公은 당唐나라 태사太師 방현령房玄齡 의 10대손代孫

   이라 하였으니 홍씨洪氏와 우리 방씨房氏의 년대年代가 상부相符

   하므로 이것이 바로 그 밝은 증거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러나 만오공晩悟公 초보初譜 서문序文과 서주공西州公및 노동공     鷺洞公의 기記, 발拔에 년대年代의 밝은 증거가 없어 심히 한스럽     게 여긴 것은 보국공輔國公을 정관중貞觀中에 동래東來하신 학사공     學士公으로 오인誤認한 까닭과 보국공輔國公으로 부터 9세世를

   실전失傳하여 이를 밝힐 수 있는 고증考證할 자료가 없어 가한지사

   可恨之事나 삼가 화동역대사華東歷代史와 명가名家의 문헌文獻과

   오가吾家의 세대世代를 참고해 본즉 심한 차이가 없으므로, 이에

   기록해 둔다 라고 하였음.    




*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남양방씨 족보

   (國立中央圖書館 所藏 南陽房氏 族譜)

   南陽房氏世譜 (1778年 正祖2年) 南陽房氏世譜 所編

   南陽房氏世譜 (1927年)房斗錫 編 (發行地 金海)

   南陽房氏世譜 (1940年)房鎭洪 編 (發行地 미상)

   南陽房氏世譜 (1986年)房乃鎭 編 (發行地 서울)



* 정독도서관 소장 正讀圖書館 所藏

   戊寅大同譜 (1998년  房大燁발행, 房乘爀편집)



5. 각파조 까지의 세계 (各派祖  世系)



시조 始祖(휘諱 계홍季弘)이후 4代까지는 벼슬이 금은자계金銀紫階

         의 벼슬이 화려하게 나타났다.

2世 諱 의강 義康 님은 금자광록대부 문하시랑 중서문하 평장사

         金紫光祿大夫 門下侍郞中書門下平章事 시諡 제평공濟平公

         이시고, 子 진유珍儒, 정유貞儒를 두었으며

3世 諱 진유 珍儒 님은 은청광록대부 추밀원부사겸예부상서 銀靑光祿

       大夫 樞密院副使兼禮部尙書 벼슬을 하시었고 子 계桂를 낳았고

     諱 정유 貞儒 님은 대광보국大匡輔國 벼슬을 하시었고,

         子 원요元要를 낳았으며

4世 諱 계 桂님은 문림랑검교상서 공부시랑행소부승추봉공부상서文林           郞檢校尙書 工部侍郞行少府丞追封工部尙書 벼슬을 하시었고,

         子 지백之伯을 낳았으며,

     諱 원요 元要님은 서사유령書史儒令 벼슬이나,자손子孫이 없으며

5世 諱 지백 之伯 님은 감찰어사監察御使 벼슬을 하였으며, 3子을 두           었으니 長子 태보台輔, 2子 태경台慶, 3子 태진台珍이다

6世 諱 태보 台輔 님의 벼슬은 문하찬성사 상호군보국공신門下贊成事

         上護軍輔國功臣이요, 子 송연松衍을 두었으며,

     諱 태경 台慶 님은 高麗 현종玄宗9년(1018년) 벼슬이 문하찬성           사 상호군보국공신 門下贊成事 上護軍輔國功臣이요,

         고려高麗 문종조文宗朝에 의춘군宜春君에 봉封하였으며,

         子 송현 松衒, 송구 松衢 를 두었고,          

     諱 태진 台珍 님은 벼슬길에 나아가지 않는 학생學生인데,

         子 현상 賢相을 두었다.

    (以上은 기묘보己卯譜(1939) 방형규서문房衡圭序文에 수록收錄됨)



7世 諱 송연 松衍 님은 벼슬이 보조공신補祚功臣으로 찬성 상호군

         贊成 上護軍이었으며, 子 주柱를 두었고,

     諱 송형 松衒 님은 증에부참의贈禮部參議이며,

         長子 규圭와 次子 창昌을 두셨다.  

     諱 송구 松衢 님은 벼슬은 이조정랑광록대부吏曹正郞光祿大夫

         충청감사忠淸監司이었고, 子 규珪를 두셨다.

     諱 현상 賢相 님은 子 순문順文을 두셨다.

8世 諱 주 柱는 벼슬이 보리공신補理功臣으로 평리상호군評理上護軍

         이고, 子 사량士良을 두셨다.

     諱 규 圭는 벼슬이 통훈대부 이조판윤通訓大夫 吏曹判尹이고,

         子 사인 士仁을 두셨다.

     諱 창 昌은 벼슬이성균과 진사成均館進士였으나 자손子孫이 없다

     諱 규 珪는 벼슬이 고려신종高麗神宗3년 경주부유수 경상감사

           예부상서 慶州副留守 慶尙監司 禮部尙書였으며,

         子 사보 士輔를 두셨다.

     諱 순문 順文은  子 춘천春天을 두셨다.                      

9世 諱 사량 士良, 號 행은杏隱으로 홍무 정사洪武丁巳(1377년) 뛰어

         난 문학文學으로 현량과賢良科에 올라 벼슬은 보문각직제학

         寶文閣 直提學에 이르렀으나,

         이태조李太祖가 혁명革命을 일으키자, 남양행자포南陽杏子浦           에 은둔隱遁해 출처出處를 바르게 하여 정포은鄭圃隱, 이목           은李牧隱등 八隱과 더불어 명성名聲이 같았고 선비들이 우러           러 사모하여 유천사楡川祠(남원)에 봉향奉享되었고,

         長子 구행九行, 2子 구달九達, 3子 구성九成을 두셨으며,

     諱 사인 士仁은 벼슬이 장사랑여안훈도將士郞麗安訓導이며,

         長子 구령 九寧, 次子 구연 九連을 두셨으며,

     諱 사보 士輔는 벼슬이 헌릉참봉獻陵參奉이고, 子 구형九亨을 둠.

     諱 춘천 春天은 子 옥심玉心을 두셨다.

10世 諱 구행 九行은 문과文科에 올라 한림翰林을 거쳐 정언正言이  

          되셨고,  제1派 한림공파 파조翰林公派 派祖가 되셨고,

     諱 구달 九達은 문과文科에 올라 한림翰林을 거쳐 부제학副提學           이 되셨고,  제2派 제학공파 파조提學公派 派祖가 되셨는데

           위 2분 모두 남양南陽에서 살으셨다.

     諱 구성 九成은 사마시司馬試에 올라 어사御使에 발탁되셨고,

          정산현감定山縣監을 지냈으며, 남원南原으로 장가를 들어

           남원南原에 정착定着, 남원 입향조入鄕祖이시며

          제3派 정산공파 파조定山公派 派祖가 되셨고,

           5男을 두었는데 長子 한문翰文, 2子 의문毅文 , 3子 순문

            恂文, 4子 계문戒文, 5子 규문奎文이시다.  

          묘墓는 주포 대산 송곡 周浦大山松谷 제 록 동강 건좌 석장

           유비 석상 망주석 석인 이상영찬 묘명 참판민병승서

            麓   桐岡 乾坐 石葬 有碑 石床 石望柱 石人 李商永攢

           墓銘 參判 閔丙承書

            배 영인 반성형씨 공묘하 술좌 석장 유비 석상 석망주

            配 令人 班城邢氏 公墓下 戌坐 石葬 有碑 石床 石望柱

     諱 구령 九寧은 태조太祖때 해주판관海州判官 벼슬을 지냈으며,

            第4派 판관공파 파조判官公派 派祖가 되셨고,

     諱 구연 九連은 정종조定宗朝 여절교위勵節校尉벼슬을 지냈으며,

            第5派 교위공파 파조 校尉公派 派祖가 되셨고,

     諱 구형 九亨은 태종조太宗朝 헌릉참봉獻陵參奉 벼슬을 지냈으며

            第6派 참봉공파 파조 參奉公派 派祖가 되셨고,

     諱 옥심 玉心은 제7派 학생공파 파조學生公派 派祖가 되셨다.

11世 諱 한문 翰文은 생원生員이며,

     諱 의문 毅文은 수의부위修義副尉 벼슬을 하셨고,

           위 두분은 자손子孫이 없다

     諱 순문 恂文은 문장文章과 명필名筆로 음직蔭職으로 경기京畿

           수운판관水運判官 벼슬을 하셨고, 두아들 귀원貴元과 귀화

            貴和님을 두셨고, 성화임진년成化壬辰年에 졸卒하시니,

          묘墓는 송곡 제3장록진향 유단갈 석인

                 松谷 第3長麓辰向 有短喝 石人

          배 숙인 남해조씨配 淑人 南海趙氏로

          송곡 공묘하 진향유단갈석인松谷 公墓下 辰向 有短喝 石人  

     諱 계문 戒文은 음직蔭職으로 사정司正 벼슬을 하셨고,

          나주 羅州로 이거移居, 子 귀온 貴溫을 두셨으며,

     諱 규문 奎文은 옥과玉果로 이거 子 선기善璣를 두셨다.

12世 諱 귀원 貴元은 생원生員으로 문과文科에 올라 한림翰林인데

           자손子孫이 없으며,

      諱 귀화 貴和는 시詩와 글씨에 뛰어나 이조 예종조李朝 睿宗朝            에 생원生員과 진사시進士試(사마양과司馬兩科)에 합격合             格했으며, 백의한사白衣寒士로서 서장관書狀官으로 3번이             나 중국中國에 다녀왔으며, 이때 예겸倪謙, 장영張寧 두분             사신 使臣과 한번 접견, 서로 마음이 합하여 시문詩文 80여            편編을 지어 각자 1통通을 썼으니 이는 세상의 보물寶物이            라 할 수 있으며,

          벼슬은 3고을의 수령首領을 거쳐 호조좌랑戶曹佐郞에 이르            렸고, 좌랑佐郞을 지낸 뒤 향리鄕里 남원에 내려와 지냈는            데, 그 무렵 피난차 중국中國에서 왔다는 두사충杜思忠이란            사람이 은신시켜 줄 것을 요구했다 (당시 명,청왕조 교체기)

          공公의 호의好意로 10년간 묵었는데, 어느 날 자신이 지사

          地師임을 자처하고 남원 영천嶺川의 송곡松谷에 옥녀산발혈

          玉女散髮과 곡성통명산谷城 通明山의 양마괘고혈良馬掛鼓            을 내 놓고, 택일擇一을 하라고 했다.

          옥녀산발혈玉女散髮은 당대當代 만석지기萬石地氣의 혈            이요, 양마괘고혈良馬掛鼓은 3대걸식三代乞食에 7장8상3            황후지지 七將八相三皇后之地라고 했다.

          가난하게만 살아 왔던 공公은 3대代를 빌어 먹고 난 후

          잘되는 것보다는 당대當代 만석萬石이 부러웠다.

          그래서 옥녀산발혈玉女散髮을 택하여, 조부 정산공祖父             定山公(휘 구성諱 九成)의 묘소墓所 만년유택萬年幽宅을

          점득占得하여 자손들에게 수백대 음덕數百代 陰德을 심어

          주셨다. 지성스런 효도孝道는 천지天地를 감동感動하여

          이 명산名山에 명당明堂을 점득占得하였고,

          벌안 10리에 나무를 못베게 양림養林하였고 제전 수십두락

          祭田 數十斗落을 매입買入하고 자손子孫들로 하여금 대대

          代代로 그 남쪽 유매楡梅와 영지嶺地에 살면서 가성家聲이

          그치지 않게 하셨으니 거룩하고 거룩하시다.

          500餘年이 지난 오늘날까지 큰 선비및 초동목수樵童木手에            이르기 까지 방씨房氏 집안의 명당明堂이라며 손짓하지

          않는 사람이 없다.

          훗날 중국中國에 들어가 두사충杜思忠으로부터 곡성 통명산

          谷城 通明山의 양마괘고혈良馬掛鼓의 산도山圖를 부채에            그려 오던중 의주 압록강義州 鴨綠江에서 화선畵扇을 풍랑

          風浪에 휘쓸려 버린 변괴變怪와, 곡성군谷城郡에 있는 통명            산通明山을 곤방산困房山이라고 지칭한 것만 보아도 공公

          께서 노심초사하여 지극한 정성을 멈추지 않았다는 것을

          상상하게 하고 있으니, 모든 방房씨 후손後孫들은 어찌

          감히 추모追慕하여 삼가 생각하지 않을 수 있겠는가.

          이러한 전설傳說은 한갓 일화逸話에 지나지 않지만 결과적            으로 거세擧世가 인증된 것이기에 세전世傳의 가치價値가

          있다고 본다. 또한 후손들이 사는 지당(池塘)은 남원 4대             양택지의 하나이다, 즉 남원사람들이 양택지로 손꼽는 명당            이 네군데가 있는데, 첫째가 남원시 주생면 상동리 이언              (伊彦) 으로 남원양씨 집성촌(국회의원 양창식 출생), 두 번            째가 주생면 지당리(池塘里)의 지당(池塘)으로 남원윤씨와             남양방씨 집성촌(방례원 사법고시연수원장 출생), 셋째는 대            산면 죽곡리 대곡(大谷)으로 남원진씨와 장수황씨 집성촌             (황희정승의 후손), 넷째가 수지면 호곡리의 호음실(虎音室)            로 죽산박씨 집성촌이다.

          그 후 우연히도 공公의 두아들 한장漢長과 한걸漢傑이 셋씩            의 孫子를 낳았다. 이 여섯 인물이 남원南原의 방씨문중

          房氏門中을 이끌어 갈 파조派祖가 되셨다.      

     諱 귀온 貴溫은 자(字)는 옥(玉)여(汝), 호號가 금서錦西로 헌릉

          참봉獻陵參奉에 발령發令 되었으나 임臨하지 안하였으며,             1465년(세조11)에 태어나 1495년(연산1)에 진사가 되었다.            효행이 지극하여 부모의 상례 역시 잘 치렀는데, 그의 돈독            한 마음과 바른 행실을 좋게 본 전라도관찰사 조원기(趙元            紀)가 1517년(중종12) 천거하여 참봉이 되었다.

          1519년 현량과에 병과(18위)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이 되           었고, 같은 해 기묘사화로 유배당하였다가, 1538년(중종33)           이조판서 윤인경의 상소로 신원되었다. 조광조의 문인이었고,

         第3派 其七 금서공파 파조 錦西公派 派祖가 되셨다.

      諱 선기善璣는 第3派 其八 진사공파 파조進士公派派祖가되셨다.

13世 諱 한 장 漢長은 음직蔭職으로 충순위부사직忠順衛副司直 벼슬           을 받았으며, 응청,응세,응성應淸,應世,應星 3子를 두셨고,

          배配는 숙인淑人 순천김씨順天金氏이며,

         묘墓는 송곡松谷 제5장록말단 묘향 상하분 유단갈 석인

            長麓 末端 卯向 上下墳 有 短喝, 石人

           김종가찬 갈명 金種嘉撰 喝銘 한글번역 건 신비建 新碑.

      諱 한걸 漢傑은 벼슬이 부사직副司直이며,

           응남,응현,응명 應男,應賢,應明 3子를 두셨다.

14世 諱 응청 應淸은 字 청지淸之로 성화을사成和乙巳(1485년)정월

          正月1일 생生. 장년壯年이 됨에 학문學文을 좋아하고 글씨            에 능숙하여 중종조가정병술中宗祖嘉靖丙戌(1526년)에 소촌            역마관召村 驛馬官이 되었고, 통정대부通政大夫 고부군수

          古阜郡守등 5고을의 구령首領을 역임歷任하셨다.

          신묘辛卯(1531년) 예산현감禮山縣監으로 6년, 황간군수黃澗            郡守 발령을 받았으나 모친상母親喪으로 부임赴任치 못하             고, 명종明宗시 사헌부 감찰司憲府 監察, 만년晩年에 창평현            령昌平縣令에 발령되었다 늙어 부임치 못하고 이어 통정대            부 당상관 通政大夫 堂上官에 승진昇進되셨으며,

          第3派 其1 창평공파 파조 昌平公派 派祖가 되셨다.

           배 숙부인 해주오씨配 淑夫人海州吳氏 묘墓 송고松谷

          제3장록 좌변 무좌 쌍분 유비 망주 석인

             長麓 左邊 戊坐 雙墳 有碑 望柱 石人

      諱 응세 應世는 벼슬이 만호萬戶이며,

           第3派 其2 만호공파 파조萬戶公派 派祖가 되셨다.

      諱 응성 應星은 벼슬이 의영고봉사義盈庫奉事이며

           第3派 其3 봉사공파 파조奉事公派 派祖가 되셨다      

      諱 응남 應男은 벼슬이 부사직副司直이며

           第3派 其4 사직공파 파조司直公派 派祖가 되셨다.        

      諱 응현 應賢은 일찍이 과거시험을 폐지하고 성리학性理學에

           마음을 쏟아 노소제盧蘇齊(盧守愼), 이일제李一齊(李恒),  

           노옥계盧玉溪(盧 禛), 도탄 변사정桃灘 邊士貞, 율계 장급

           栗溪 張 圾등과 교유交遊하였고 사계沙溪위에 집이 있다하             여 마을사람들이 그 행동의 의로움을 사모思慕하여 사계선             생 沙溪先生이라고 하였다.

          第3派 其5 사계공파 파조沙溪公派 派祖가 되셨고,

           월사 이정승月沙 李政丞(이정구)이 묘비문墓碑文을 엮었다.

      諱 응명 應明은 벼슬이 증 한성우윤贈 漢城右尹이며,

           第3派 其6 한성공파 파조漢城公派 派祖가 되셨다.



        이상은 남원정착조 南原定着祖 (10世정산공구성定山公九成)

          시時 7파派로 나누어 졌는데,

          14세世에 이르러 제3派(정산공파定山公派)가 다시 其8분파

            分派로 나누어져 방씨자손 房氏子孫들이 번성하였으니,

          15世부터는 전부 기록할 수 없는바,

            각파별로 참고하기 바람



*  남양방씨 세계 분파도 (요약)



             필(재 중국)  유직

.  방현령    준           유예 (비조)      

                          유칙



                          (2세)     (3세)     (4세)     (5세)

. 비조 준 .... 시조 계홍    의강     진유      계        지백

                                   정유      원요  (수원방씨?)



                          (6세)     (7세)     (8세)     (9세)

                 (지백)   태보      송연       주       사량  

                          태경      송현       규       사인

                                               창

                                    송구       규       사보

                          태진      현상      순문      춘천





                          (10세)

                 (사량)    구행 (제1파 한림공파)  

                           구달 (제2파 제학공파)

                           구성 (제3파 정산공파)

                 (사인)    구령 (제4파 판관공파)

                           구연 (제5파 교위공파)

                 (사보)    구형 (제6파 참봉공파)

                 (춘천)    옥심 (제7파 학생공파)





              (11세)        (12세)         (13세)

    (구성)     한문  

               의문          귀검           두지

               순문          귀원

                             귀화           한장

                                            한걸

               계문          귀온           한석

                                            한명

                                            석수

               규문          선기           세충

                                            한사  





              (14세)

    (두지)     윤조

               윤종

               극종

    (한장)     응청  (제3파 기1 창평공파)

               응세  (제3파 기2 만호공파)

               응성  (제3파 기3 봉사공파)

    (한걸)     응남  (제3파 기4 사직공파)

               응현  (제3파 기5 사계공파)

               응명  (제3파 기6 한성공파)

    (한석)     충명  (제3파 기7 금서공파)

    (한명)     응복

    (석수)     맹원

    (세충)     언정  (제3파 기8 진사공파)

               언수

    (한사)     응하



6. 남양방씨 항렬표 (南陽房氏 行列表)


세(世)


항렬자(行列字)


세(世)


항렬자(行列字)




1세


季弘 祖俊


21세







2세


儀康


22세







3세


儒 (珍.貞儒)


23세


相                   ㅇ  相




4세


桂.元要


24세


煥                   煥  ㅇ




5세


之伯


25세


圭                   ㅇ  圭




6세


台 (台輔,慶.珍)


26세


鎭             鎭ㅇ,金(변)ㅇ




7세


松衍


27세

               ㅇ源,ㅇ氵(변)




8세





28세


                    木(변)ㅇ  

                    極   ㅇ

                    柱   ㅇ




9세


士良


29세


                    ㅇ   爀

                    ㅇ   燁

                    ㅇ火(변)




10세


九 (九行.達.成) 南原정착祖)


30세


               基ㅇ,土(변)ㅇ




11세


文 (翰文.毅文.恂文)


31세


               ㅇ錫,ㅇ金(邊)




12세


貴 (貴元.貴和)


32세


               治ㅇ,氵(변)ㅇ




13세


漢 (漢長.漢傑)


33세


               ㅇ模,ㅇ木(변)



14세


應 (應凊:昌平公派) (應男:사직공파)

    應世:만호공파   應賢:사계공파

    應星:봉사공파   應明:한성공파


34세


               炫ㅇ,火(변)ㅇ




15세


德 (德驥,德駿,德驎)


35세


               곤(坤)




16세


齡 (得齡,復齡,後齡)


36세


               연(鉛)




17세


明 (明選,明适)


37세


               수(洙)




18세


斗(斗震,斗南,斗老,斗漢,斗三,斗必,斗光)


38세


               환(桓)




19세


泰 (泰宣,泰謙,泰卿)


39세


               렬(烈)




20세


壽 (聖佐)


40세


               균(均)


  *  남양방씨 항렬표 南陽房氏 行列表

    (木 火 土 金 水 순으로 변에 써서 항렬자 만듬)



       23세  상 相                목(木)  변 ↓

       24세  환 煥                화(火)

       25세  규 圭                토(土)

       26세  진 鎭                금(金)

       27세  원 源                수(水)

       28代  주 柱,  극 極             목(木) 변 ↓

       29대  엽 燁,  혁 爀             화(火)

       30대  기 基                    토(土)

       31대  석 錫                    금(金)

       32대  치 治                    수(水)

       33대  모 模                목(木)  변 ↓

       34대  현 炫                화(火)

      35대  곤 坤                토(土)

      36대  연 鉛                금(金)

      37대  수 洙                수(水)

      38대  환 桓                    목(木)  변 ↓

      39대  열 烈                    화(火)

      40대  균 均                    토(土)



Ⅱ.  남양 화성 향사  



1. 매년 향사 내역 (비조: 숭녕사, 시조및 9세위: 설단)



  . 일 시 : 매년 4월  3째일요일  11:00

  . 장 소 : 경기도 화성군 마도면 청원리 선영

  . 버 스 : 서울지역 /용산역앞 09:00 출발 (서울종친회 대여)

           남원,전주 지역,  정읍지역, 부산지역등에서 버스 운행



  * 참고 : 현조 제향 일( 顯祖祭享日)

  . 정승공 (政丞公) 음 3월10일 전남 고흥군 대서면 상남리

  . 의춘군 (宜春君) 음10월15일 경남 양산시 동면 사산리

  . 정산공 (定山公) 음10월10일 전북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2. 숭녕사 제례



    - 비조(鼻祖) 준(俊) 학사공 (學士公) 제례



    - 제례 순서

     . 분향(焚香) 및 강신례(降神禮) / 향을 피워,

                  주위를 정화하고 조상신이 내리기를 빔

      . 참신례(參神禮) / 조상신을 맞이함. 참석자 전원재배

      . 초헌례(初獻禮) / 첫술잔을 올리고, 축문을 읽음(독축)

      . 아헌례(亞獻禮) / 두 번째 잔을 올림

      . 종헌례(終獻禮) / 세 번째 잔을 올림

      . 사신례(辭神禮) / 조상신을 보내드림. 전원 재배



    - 축문 (祝文) : 2015년 경우

      유 세차 을미 삼월 을축삭 초1일을축 예손 극 창 감소고우

       현 비조고 학사 부군 신위

        세천일제(사) 례유중제 이자우(상)로 이증감모

        근용(이) 청작(주)시 (서)수 기봉(천)상(세)사   상

       향

   維 歲次 乙未 三月 乙丑朔 初一日乙丑 裔孫 극 창 敢昭告于

     顯 鼻祖考 學士 府君 神位

       歲薦一祭(祀)  禮有中制 履玆雨(霜)露 彌增感慕

       謹用(以) 淸酌(酒)時 (庶)羞 祗奉(薦)常(歲)事   上

     饗



         당 성 숭 녕 사   (소재 : 경기도 화성시 마도면 청원리)

  3. 설단 제례



      - 시조(始祖) 계(季)자 홍(弘)자 벽상공신공 이하

            9세위의  제례



      * 비조 이하 10세까지 행적이 실전(失傳)되었고,

          시조(始祖)이하 9세위의 무덤이 실전되어,

          설단을 설치(1998년) 하여 제례모심





    - 제례 순서

     . 분향(焚香) 및 강신례(降神禮) / 향을 피워,

                  주위를 정화하고 조상신이 내리기를 빔

      . 참신례(參神禮) / 조상신을 맞이함. 참석자 전원재배

      . 초헌례(初獻禮) / 첫술잔을 올리고, 축문을 읽음(독축)

      . 아헌례(亞獻禮) / 두 번째 잔을 올림

      . 종헌례(終獻禮) / 세 번째 잔을 올림

      . 사신례(辭神禮) / 조상신을 보내드림. 전원 재배





    - 축문 (祝文) / 2015년의 경우



  維 歲次 乙未 三月乙丑朔 初 一日 乙丑  二十八代孫 극창 敢昭告于

顯二十七代祖考 高麗開國功臣三韓壁上三重大匡(輔國) 府君之壇

顯二十六代祖考 高麗金紫光錄大夫中書門下平章事     府君之壇  

顯二十五代祖考 銀靑光錄大夫樞密院副使兼禮部尙書   府君之壇

     顯 二十五代祖妣 貞夫人 江 華 魯 氏                之壇

顯 二十四代祖考 文林郞 檢校 工部尙書              府君之壇

顯 二十三代祖考 監察御使                          府君之壇

顯 二十二代祖考 門下贊成事 上護軍                 府君之壇

顯 二十一代祖考 三重大匡 門下贊成事 (上護軍)      府君之壇

顯 二十代祖考 匡靖大夫 門下平理 上護軍            府君之壇

顯 一十九代祖考 寶文閣 直提學                     府君之壇

     顯 一十九代祖妣  叔夫人 水原白氏                  之壇

   歲薦一祭(祀)  禮有中制 履玆雨(霜)露 彌增感慕

   謹用(以) 淸酌(酒)時(庶)羞 祗奉(薦)常(歲)事   上





            시조공 (휘 계홍)이하 9세위 합동봉사단

               소재: 경기도 화성군 마도면 청원리산 25의 2번지



           시조공 (휘 계홍)이하 9세위 합동 봉사단비

               소재 : 경기도 화성군 마도면 청원리





* 설단 비문(設壇 碑文)



   始祖南陽房公季弘 之壇

        高麗開國功臣三韓壁上三重大匡(輔國)

   二世齊平南陽房公儀康 之壇

        金紫光錄大夫中書門下平章事

   三世南陽房公珍儒  配 貞夫人江華魯氏 之壇

        銀靑光錄大夫樞密院副使兼禮部尙書

   四世南陽房公桂   之壇 文林郎檢校工部尙書

   五世南陽房公之之伯 之壇 監察御使

   六世南陽房公台輔 之壇 門下贊成事上護軍

  七世南陽房公松衍 之壇 三重大匡門下贊成事

   八世南陽房公柱   之壇 匡靖大夫門下平理上護軍

   九世杏隱南陽房公之士良  配叔夫人水原白氏 之壇

       寶文閣 直提學


4. 산신 축문 (山神 祝文)



維 歲次 乙未 三月乙丑朔 初一日乙丑  幼學 극창 敢昭告于

土地之神 今爲 극창 恭修歲事于

顯二十七代祖考 高麗開國功臣三韓壁上三重大匡輔國 府君之壇

  惟時保佑   實賴神休 敢以 酒饌 敬伸奠獻 上



을미년 3월초 1일 토지신께 삼가 아룁니다.

저의 27대조 할아버님 설단를 이곳에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계절이 돌아와 신께서 보살펴 주신 고마움에,

삼가 경건한 마음으로 술과 찬을 올리오니 흠향하시옵소서



(유시보우 (維時保佑) : 때로 묘를 돌보아 주었다는 말,

실뢰신휴 (實賴神休) : 토지신 보우에 힘입었다는 말,

주찬 (酒饌) : 술과제주

경신전언 (敬伸奠獻) : 경건히 전 드린다는 말)





5. 남양방씨 시제 홀기 (南陽房氏 時祭 笏記)

     숭녕사 및 설단 ( 崇寧祠  設壇 )



初獻官 盛服率執事者 詣神位(墓所). 再拜序立 執事者陳設

初獻詣香爐前跪 焚香再拜小退立. 司尊取巾拭甁口立于右.

奉爵取酹酒盞盤立于左. 初獻跪封爵跪. 進盞盤.初獻受之

司尊跪斟酒于盞. 初獻左受盤右執盞酹酒之地上. 奉爵受虛盞置于尊所. 初獻俛伏興再拜復位. 初獻以下皆再拜參神.

初獻進奉神位(墓)前盞盤東向立. 司尊西向斟酒. 初獻奉奠故處北向立. 奉爵奉神位(墓)前盤立于左. 初獻跪封爵跪進. 初獻左受盤右執盞三祭于地上. 奉爵受之反之故處. 初獻俛伏興小退立. 奉爵以楪盛炙肝加鹽. 奉奠于匙箸南. 啓飯蓋置其南. 揷匙正箸. 初獻以下皆跪. 祝執板跪於左. 讀祝. 興. 初獻俛伏興再拜復位. 奉爵奉撤酒及肝置盞故處. 亞獻進奉神位(墓)前盞盤東向立. 司尊西向斟酒. 奉尊于故處北向立. 奉爵奉盞盤立于左. 亞獻及奉爵皆跪. 亞獻左受盤右執盞.三祭于地上. 奉爵受之反之故處. 亞獻俛伏興小退立. 奉爵奉首肉炙加鹽. 奉奠于匙箸南. 亞獻再拜復位. 奉爵撤酒及肉置盞故處. 終獻進奉神位(墓)前盞盤東向立. 司尊西向斟酒. 奉奠于故處北向立. 奉爵奉盞盤立于左. 終獻及封爵皆跪.終獻左受盤右執盞三祭于地上.  奉爵受之反之故處. 奉爵奉血肉炙加鹽. 奉奠于匙箸南. 終獻再拜復位. 初獻進熟水復位. 奉爵下匙箸合飯蓋. 初獻以下皆再拜辭神. 祝揭祝文焚之撤饌. 遂祭土地陳饌降神參神三獻辭神.



* 詣 : 나아갈 예, 序立(서립) : 차례로 서다. 司尊(사전) : 술을 맡다

  拭 : 닦을 식. 爵 : 술잔 작.  酹 : 강신술 뢰.

  斟 : 헤아릴 짐. 俛 :구부릴 면. 楪 : 평상 접. 啓 : 열계

  蓋 : 덮을 개





6. 창홀 (唱忽 : 홀기를 창하듯이 읊음)



-집사, 초헌관을 인도하여 제수진설(祭需陳設)을 확인하시오.
-헌관(獻官) 이하 제관(祭官) 일동(一同) 각각 자리에 서시오.







(1) 초헌관(初獻官), 손을 씻고 향안(香案) 앞에 꿇어 앉으시오.
(2) 좌집사(左執事) 향로를 받들고,

     우집사(右執事) 향합(香盒)을 받들며,

     헌관 삼상향(三上香) 분향 하시오.
(3)좌집사, 잔(盞)을 받들어 헌관에게주고, 우집사, 술을따르시오.
(4) 헌관, 세 번 나누어 땅에 부으시오.
(5) 좌집사, 빈 잔을 받아 제 자리에 놓으시오.
(6) 헌관(獻官), 재배(再拜)하고,

- 헌관 이하 제관 일동 재배하고 제자리에 서시오.
    (배-흥 拜-興)



(1) 초헌관(初獻官), 신위 전(神位 前)에 나와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 잔을 받들어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시오.
(3) 좌집사, 잔을 받아 신위 전에 올리고, 정저(正箸) 하시오.
(4) 제관 일동, 부복(俯伏) 하시오.
(5) 축관(祝官), 헌관의 좌(左)로 나가 동향(東向)하고,

      꿇어앉아 독축(讀祝) 하시오.
(6) 축관, 일어나 제자리로 가고, 제관 일동 일어서시오.
(7) 헌관, 재배하고 제 자리로 돌아가시오.


(1) 아헌관(亞獻官), 손을 씻고, 신위 전에 나와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 퇴주하여 잔을 헌관(獻官)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시오.
(3) 좌집사 잔을 받아 신위 전에 올리고, 정저 하시오.
(4) 헌관,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1) 종헌관(終獻官), 손을 씻고 신위 전에 나와 꿇어앉으시오.
(2) 좌집사, 퇴주하여 잔을 헌관에게 주고,

       우집사 술을 따르 시오.

(3) 좌집사, 잔을 받아 신위 전에 올리고, 정저 하시오.
(4) 헌관, 재배하고 제자리로 돌아가시오.
(5) 헌관이하 제관 일동, 부복숙사(俯伏肅俟) 하시오. (1분)
(6) 집사, 수저를 내리고, 제관 일동 일어서시오.


(1) 헌관이하 제관 일동 재배 하시오.   (배-흥 拜-興)
(2) 축관, 축을 신위 전으로 인도(引導)해 분축(焚祝) 하시오.
(3) 집사, 예필(禮畢)을 고(告) 하시오.
(4) 헌관 이하 제관 일동 각(各) 퇴출(退出) 하시오.

집사, 모두 제단 앞에 나가, 재배하고 퇴출 하시오.



  Ⅲ. 족보 편람 族譜 便覽



1. 족보 族譜



  . 모든 보첩 (譜牒)을 지칭

    동일씨족同一氏族의 일관향一貫鄕을  중심으로 시조始祖이하

    세계世系의 계통系統을 수록收錄하여 동족同族의 발원發源에 대한      사적史蹟과 선조先祖에서 본인本人에 이르기까지 명,휘,호名,諱,號

    등 사략事略을 상세히 수록收錄하여 종족宗族의 근원根源을 밝히

    고 자랑스런 선조先祖의 행적行蹟과 동족간同族間의 소목昭穆을

    알아 화애 돈목 함을 목적으로 편수編修된 보첩譜牒을 말함.



  . 대동보 (大同譜)

    득성조得姓祖 또는 비조鼻祖의 후계後繼 중시조中始祖마다 분관       分貫하여 명관시조各貫始祖로 한 씨족간氏族間에 대동大同하여        합의合議한 족보族譜.



  . 파보 (派譜)

    동일선계同一先系의 시조始祖이하 분파分派된 해당該當 파계派系

     만을 수록收錄하여 편수編修, 대동보大同譜와 다른점은 대동보大

     同譜에는 각파문중各派門中에 대한 후손後孫의 손록孫錄을 상세       詳細히 수록할 수 없다.

     (수단收單 : 족보族譜에 올리는 이름)



  . 세보 (世譜)

     동일 종파이상의 시조이하 각파계를 종보로 함을 말함

    (세지世誌라고도 함)



  . 가승보 (家乘譜)

     시조始祖이하 중조中祖, 파조派祖를 거쳐 본인本人에 이르기까지

    직계존속直系尊屬만을 수록收錄한 가보家牒을 말함.

    본인本人의 고조부高祖父이하는 전부 수록收錄하여

    재종再從, 삼종三從, 형제자매兄弟姉妹까지 알아 볼 수

     있도록 하였다.

    물론 고조부高祖父이상은 직계直系 선조先祖만을 수록함.



  . 계보 (系譜)

    다른 가첩류家牒類와 달리 시조始祖이하 동족同族간의 계통系統과      소목昭穆을 밝히기 위하여 명名, 휘諱, 자字만을수록  收錄한 계열

    도系列圖를 말함



* 참고 (參 考)

  . 종간보 (從間譜,줄보) : 촌수寸數로 분간하기 어려운 단점.

  . 횡간보 (橫看譜) : 5대代로 1루壘, 즉 1항項으로 하는 방법으로                          지면紙面은 6간間으로 하는것이 대부분임.

  . 단금 單金(명하전) : 관冠 (세대주世帶主), 동童 (미혼남)



-시조 (始祖) : 득성得姓(성자姓字를 처음갖게 됨)또는 개관改貫

               (관향貫鄕을 고쳐서 새로 정함)의 초대初代.

                즉 시초始初의 선조先祖를 말함.

   비조 (鼻祖) : 시조이전始祖以前의 선계조상先系祖上을 말할 때

                시조始祖 또는 중시조中始祖을 높여서 비조鼻祖라

                부르게 됨.

   중조 (中祖) : 시조始祖이하 계대系代에서 가문家門을 중흥中興시                  킨 선조先祖를 종중宗中의 공론公論에 의하여 추존追                  尊 하여 부르는 선조先祖.

-선계 (先系) : 시조이전 始祖以前 또는 중시조이전 中始祖以前 의

                선대조상 先代祖上.

   세계 (世系) : 시조始祖나 파조派祖로부터 대대代代로 이어 내려                  가는 계통系統의 차례를 말함.

- 세 (世) : 시조始祖를 1世로하여 차례로 내려가는 것을 세世라함  

   대 (代) : 기신己身인 자기自己로부터 부모父母의 순順으로 올라가                는 것을 대代라 함  

      (부자父子사이는 세世로는 2世이지만, 대代로는 1대代가 되며,          자기自己의 파조派祖를  몇 대조代祖라하고, 자신自身은 파조

        派祖로부터 몇 세손世孫이라 한다)

-항렬 (行列): 횡적橫的으로 같은 대수代數에 해당된 자는동항同行



-항렬자 (行列字) : 같은 자로 통일統一하여 쓰는 것으로 “돌림자”

     . 십간순 十干順  : 갑,을,병,정甲,乙,丙,丁....의 자字나

                           변邊을 쓰며

     . 십이지순 十二支順 : 자,축,인,묘 子,丑,寅,卯.........  

                         순서順序에 따라 이름 자字에 붙여씀

     . 숫자를 포함시키는 경우 : 一00, 二00, 三00, 四00....

     . 오행상생법 (五行相生法) : 금,수,목,화,토 金 水 木 火                  土의 변邊을 사용하여 순서順序에 따라 씀



    * 우리 房氏의 경우

       26代 (金) : 진(鎭)○,          27代 (水) : ○源

       28代 (木) : 극(極)○,○주(柱)   29代 (火) : ○爀,○燁

       30代 (土) : ○기(基)  

       31代부터는 또 金,水,木,火,土 순으로 돌림자로 씀.

          cf. 항렬行列은 장손계통長孫系統 일수록 낮고,

              지손支孫 일수록 높다



-본관 本貫 : 시조始祖나 씨족氏族의 고향故鄕을 일컫는 말

               (향적鄕籍, 관향貫鄕)

   관적 貫籍 : 본적지本籍地라는 말

               (본관本貫 대신代身에 관적貫籍이라고도 함)



- 명 名 : 호적명戶籍名으로 통용通用

    휘 諱 : 이름 자字, 함銜 字

    자 字 : 20세 관례시冠禮時 백지白紙에 써 본인本人에게 내려줌

    호 號 : 사부師父가 학문學文을 연구硏究하여 어느 한계限界를                 깨우치고, 본인本人이 이를 터득攄得하였을때 그를 인                증 認證한다는 뜻



- 분 묘  墳 墓

  . 분 墳 : 토土, 석분石墳

    묘 墓 : 시신屍身을 안장安葬하여 모셔둔 곳

        * 오장법 五葬法 : 토장 土葬, 화장 火葬, 풍장 風葬,

                          수장 水葬, 조장 鳥葬

    일반적一般的으로 산山을 뒤로 업고, 앞에는 물이 흐르는 약간 높

    은 곳 (배산임수背山臨水)에 봉분封墳을 지어 성분成 墳하고, 이삼      층二三層의 단檀을 지어 무덤앞에 상석床石을 놓고, 약간 옆으로

    묘비墓碑(묘표墓表)을 세우며,  양兩 옆으로 문관석文官石을 세우

     고, 그 맨 앞줄에 망주望柱 (돌기둥)을  양쪽에 각각 세운다.

    이는 사대부가士大夫家의 통례通例이며, 일반서민一般庶民은 겨우      봉분封墳으로 그치며, 더러는 상석床石과 망주望柱 정도에 불과함



  . 세장산 世葬山 : 대대代代로 묻힌 세장지世葬地

     면례 緬禮  : 명당明堂을 찾아 이장移葬하는 것

     구산 求山 : 길지吉地의 안전한 묘소墓所를 찾음

     타문 他門 : 동족同族이면서 산소山所와는 관계없는 방계 傍系

     선산 先山 : 묘소墓所, 선영先塋, 선조先兆

     합폄 合窆 : 부부夫婦가 합장合葬했을 경우



  * 보첩 譜牒의 방주旁註란에 묘墓의 위치位置, 좌향坐向, 석물

           石物등의 유무有無를 자세히 명기明記하여 둔다.

  . 좌향 坐向 : 좌坐 (배면背面 : 등뒤), 향向 (전면前面)

      자좌오향子坐午向 (正北正南), 오좌자향午坐子向 (正南正北)

      간좌고향艮坐坤向 (北東南西), 곤좌간향坤坐艮向 (南西北東)

      묘좌유향卯坐酉向 (正東正西), 유좌묘향酉坐卯向 (正西正東)

      손좌건향巽坐乾向 (南東北西), 건좌손향乾坐巽向 (北西南東)



  . 묘계 墓界 : 1품계品階 (4방方 100보步), 2품 品 (90보步),

                 3품 品(80보步), 4품 品(70보步), 5품 品(50보步),

                생원,진사 生員,進士(40보步), 서민庶民(10보步)



  . 묘표 墓表 : 표석表石

      망자亡者의 품계品階와 관직官職, 명호名號 앞면에 세우며,

       뒷면에 자字, 호號, 휘諱, 행적行蹟, 생졸년월일生卒年月日, 비

       석碑石 세운 연월일年月日, 비문碑文을 찬撰(作文함)한 사람,

       글씨를 쓴 사람등을 명기明記하여 무덤앞에 세우는 비석碑石          등을 말함

       통정대부이조참판광산김공지묘 通政大夫吏曹參判光山金公之墓,         백운한양조씨지묘 白雲漢陽趙氏之墓 ,

        (관작官爵이 없으면 호號만을 쓴다. 호號가 없을 경우만              일반적으로 학생學生 (벼슬길에 나가지 않았다는 뜻)이라 함.           학생모공지묘 學生某公之墓)


. 묘지 墓誌 : 지석 誌石

       천재지변天災地變(폭풍우暴風雨,산사태山沙汰등)으로 묘墓를 잃

       어 버릴것에 대비對備, 석石등에 망인亡人의 관성명貫姓名, 생

       졸년월일生卒年月日, 묘墓의 위치位置, 자손子孫의 이름등을 간         략히 새겨 무덤앞에 묻는 것



. 묘비 墓碑, 비명 碑銘

      묘비墓碑 : 무덤앞에 세우는 비석碑石의 총칭總稱

      비명碑銘 : 비석碑石에 비문碑文을 새긴 것.  고인故人의

      관성명貫姓名, 경력經歷, 사적事蹟등을 서술敍述함을말함

. 묘갈 墓碣 : 묘비墓碑와 비슷하나 3품이하品以下 무덤앞에 세우는        것으로 머리부분에 별도의 관석冠石(머릿돌)없이 비신碑身만          머리부분만 둥그스름하게 만든 것은 묘비墓碑에 비해 그 체제         體制와 규모規模가 작은 편이다.



. 신도비 神道碑 : 임금이나 고관高官의 무덤앞이나 또는 연고지緣故        地의 길목에 세워 고인故人의 사적事蹟을 기리는 비석碑石을 말        하며 대개는 무덤 동남東南쪽에 위치位置. 신도神道는 망인亡人        의 묘명墓路 즉 신령神靈의 길(道)이라는 뜻.

     2품이상品以上에게만 세우는 것을 제도화制度化 함.

               (조선시대朝鮮時代)

    두전 頭篆 : 비신碑身위에 전자체篆字體로 새겨 놓은 글

    가첨석 加檐石 : 빗돌위에 지붕모양으로 덮는 돌

    용대 龍臺 : 비신碑身을 받쳐 놓은 돌

    규액 圭額 : 비신碑身의 위(머리부분)에 새겨 놓은 문양紋樣



* 행수법行守法 :행行 (계고직비 階高職卑 :계급 높고 직책 낮음),

                수守 (계비직고 階卑職高 :계급 낮고 직책 높음)

               (7품이하品以下가 그 직이상職以上 높은 관직官職

                       에 임용任用될수 없고,

                6품이상品以上의 관원官員이 3계이상階以上의 높은                          관직官職에 임용任用될 수 없음)




2. 족보 보는법



  요즈음 족보(族譜)를 보는 방법을 몰라 자녀들에게 집안의 내력을

  설명 못하는 이들이 많다.  이는 요즈음의 젊은 세대들이 족보에 관    심이 없는 것도 있겠으나,  이를 낡은 유물이나 봉건사상쯤으로 도    외시하는 한자나 옛것에 관한 교육의 부재에도 문제가 있다 하겠다.

  조상의 얼이 담겨 있는 귀중한 보첩(譜牒)을 경건한 마음으로 모셔    야 하고, 소중히 간직하기 위해서는 족보를 편수하는 방법이나 구성,    체재등 열람하는 방법을 숙지하여 알아야 한다.



- 족보 수록

족보에 제일 먼저 수록되는 것은, 선조에 관련된 사적(초상화, 제각    (祭閣 : 제사를 모시는 추모각, 영묘각, 경모제등, 우리 방씨는 숭녕   사(崇寧祠), 신도비, 묘비(墓碑)등과 문집등 그밖의 사적) 과 조상을   모신 묘가 그려진 산도(山圖: 나중에 후손들이 찾기 쉽도록 그림)가    그려지고, 다음은 그간 발간된 족보의 발간 경위등이 적힌 발, 서문과   제사에 관련된 홀기, 제물진설도등이, 그 다음은 사적등의 중수기등    변천사적을 적고,  그리고는 금번에 발간되는 족보의 서문(序文:머리   말)이 나오는데, 이는 자랑스러운 가문과 조상의 숭고한 정신을 고취   시키고, 족보 간행의 중요성과 당위성을 강조하는 글이며, 족보의 이   름은 ○○보(譜) (예 :무인보(戊寅譜))라 하여 족보의 간행년도의 간   지를 따 족보의 명칭으로 삼는다.

(* 가장 최근에 발간된 남양방씨대동보는 1998년 무인년에 발간되었   으므로 무인대동보(戊寅大同譜)라 하고, 줄여서 무인보(戊寅譜)라 함)



본문에는 비조(鼻祖)와 시조(始祖)로부터 시작하여 가로 1행(行=단)을

같은 대(代)로 하여, 보통 5~6단으로 되어 있는데,  기록내용을 보면   이름자가 나오고, 자(字)와 호(號)가 있으면 기록한다.

이어서 출생과 사망년도가 표시된다. 20세 이전에 사망하면 요절(夭   折)이란 뜻의 조요(早夭)라 표시하고, 70세가 되기전에 사망하면 향   년(享年), 70세가 넘어 사망하면 수(壽)라 하고, 방서란(傍書欄)에 기  록한다.  시호(諡號)와 관직(官職)이 있으면 기록되고, 비필(妃匹)이라 하여 배우자를 표시하는데, 보통 배(配)자 만을 기록하며, 배우자의 본

관(本貫) 성씨(姓氏)와, 그 아버지의 이름자와 관직이 기록된다.


•① 족보를 펴면 오른쪽에 세로로 표시되어 있는 게 시조(始祖)로부터의 세(世)수를 나타낸다. 같은 단의 횡으로는 세가 같은 혈손들이며 오른쪽으로부터 장남, 차남 등의 순서로 기록된다.


•② "자 희인(子 希仁)"을 기두(起頭)라 한다. 子란 적자(嫡子)를 줄인말이며 아래에서 설명할 계자(系子)와 구별된다. 기두 오른쪽의 작은 글씨 ③은 "희인"의 아버지와 할아버지를 비롯한 윗대를 표시 한 것이다. 16세형(亨), 15세온(溫), 14세례(禮), 13세질(晊) 등이다.


•④(見上十三)는 희인의 윗대를 보려면 앞의 13쪽을 보라는 뜻이다.  이 경우에는 같은 책의 13쪽을 말하며 '見三之十三'이라면 3권의 13쪽을 보라는 뜻이된다. 아래의 ⑩을 보면 다른 권의 쪽수를 나타내고 있다. 2권 122쪽이다.


•⑤와 같이 이름 아래 작은 글씨는 아명(兒名), 자 또는 호(號)를 표기한다. 여기서는 자는 '구숙'이며 호는 '강호'라고 표기되어 있다.


•⑥의 '계자(系子)'는 그 윗대인 19세 [경(鏡)]이 아들(후사; 後嗣 / 세계를 이을 자손)이 없어서 '감(堪)'을 양자(養子)로 맞았음을 나타낸다. 이같이 양자를 세운 경우에는 ⑦처럼 생부(生父)를 표기해 주는데 여기에서 생부는 '령(鈴)'이라고 되어 있다. 그림에서는 생부인 '령(鈴)'과 그 아들인 '감(堪)'의 관계가 나타나 있지 않은데 이것은 세(世)에 따라 다른 쪽을 찾아보면 나타나 있을 것이다.


•⑧에서 그 관계를 찾을 수 있다. 즉, 20세손 '감(堪)'은 다섯 아들을 두었는데 첫째 아들[장{樟)]은 '감(堪)'의 계를 잇고, 둘째 아들[석(晳)]은 양자로 보냈다. 이를 출계(出系)라고 하며 '출후(出后)'라고 써서 나타내고 있다.


•아울러 ⑨를 보면, '감(堪)'의 세째 아들 '순(栒)'은 이후로 아들이 없었으며 또한 양자도 들이지 않았다. 이른바 손(孫)이 끊긴 것으로 이것을 '무후(无后)'라고 표기한 것이다.  




또한 묘소가 기록되는데, 소재지와 방위(方位), 그리고 석물(石物)등   을 표시하며, 합장 여부등도 기록하는 것이 보통이다.

  ( 합장경우는 합폄(合窆)이라 표기 함)

가끔 출후(出后), 출계(出繼)라고 나오는데, 이것은 다른 집으로 양    자(養子)를 간 경우이고, 양자로 들어온 사람은 계자(繼子) 또는 계    자(系子)라 기록되며, 생부(生父)를 기록한다.

  옛날에는 여식(女息:딸)의 이름은 족보에 기록하지 않고, 대신 남편    의 성명을 원용(援用)하고, 남편의 본관성씨와 자식들의 이름만 족보    에 올랐으나, 요즘들어 딸의 이름과 생년월일, 남편, 자식들까지 올    리는 족보가 많아졌다.



- 족보를 보려면

  의외로 많은 분들이 본인과 부친 및 조부(祖父)등의 이름만으로 “내    가 어느 파(派)인가?“ 라고 묻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이름 몇 개로    족보에서 어느 파인가를 확인하는 일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 할    것이다  족보에서 “나”의 위치와 조상을 찾아보려면 다음사항을 알    아야 한다.



첫째, 족보를 보려면 “나”가 어느파에 속해 있는지를 알아야 편리하다

  만일 파를 알지 못할 경우는 조상이 어느 지역에 살았고, 그 지방에    어떤 파가 살았던 가를 알아야 한다. 그래도 파를 모를 때는 부득이

  씨족 전체가 수록되어 있는 대동보를 일일이 뒤적여 확인하는 방법    외에는 다른 도리가 없다.

둘째, 시조로부터 몇 세인지를 알아야 한다.

  족보는 횡으로 단을 갈라서, 같은 세대에 속하는 혈손을 같은 단에    횡로 배열하였으므로, 자기 세의 단만 보면 된다. 만일 세수를 모르    면  항렬자로 세수를 헤아려야 한다.

셋째, 항렬자를 알아야 하고, 족보에 기록된 이름을 알아야 한다.

  예로부터 가정에서 부르는 이름에 항렬자를 넣지 않았더라도 족보에

  실을 때는 대개 항렬자를 넣은 이름을 실었으니 이를 알아야 한다.



위의 3가지는 족보를 보는 기본 요건이므로 필수적으로 알아야 합니다



Ⅳ. 옛 문헌(文獻)에 나타난 선조의 유적



1. 사마방목 (조선시대 진사,생원 합격자 명단)



2. 시흥군군부인 피씨묘지명(始興郡君夫人 皮氏墓誌銘)

     비갈 碑碣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금석문)

    향토문화지(서울특별시금천구, 1996.12.26) P373-375

    고려 명종25년(1195년)에 세운  시흥군 군부인 피씨皮氏는 상장      군上將軍 피금찬皮金贊의 딸로 검교檢校 대장군大將軍 방청련房淸      璉에게 출가하여 아들,딸을 두었는데 남편이 먼저 작고하자 절개      를 지켰다. 성품이 부지런하고 길쌈하기를 즐겼으며 독실한 불교      신자 였다

  원문「原文」

  부인피씨묘지夫人皮氏墓誌 (제액題額)

   始興郡 君皮氏 安南昌化人也 考曰追封上將軍諱金贊 夫人

   適於檢校大將軍房淸璉之室 執其婦道 以成家業 及房氏不幸 先逝 夫     人孀居守義二十有二年 其壽八十一年 以大金明昌六    載乙卯八月遘     疾 八月十日逝于私第 卯日權 厂昔(?) 于城東 別業 以 九月初三        日 遷之于京北山普光寺之北麓 夫人性好紡  績 自幼 及老 直□女       工 暫不少懈 且崇信內敎 常念觀世音  菩薩之號 有子男一人 幼爲內     侍 擢第於春塘 直遷於國子博士    兼直史館

   無何 卓拜於御史 俄除侍御史知制誥 今又超居舍人 子女一人

   其壻今居左右衛勝攝郞將 子女一人 先亡 嗚呼 餘慶何其盛哉

   銘曰

    閨門懿化 宗族稱賢

    性好紡績 □之□然

    栢舟之節 八十一年

    聖善慈□ 著於三遷

    月□□壻 皆□華□

   雙珠在□ 餘慶所傳

   □□□頤 書詩並全

   纔(재)踰曰□ □世□十

   人事者期 方啓重泉

   美不可掩 樂石□ 金雋(?)



(번역문)

부인 피씨 묘지 (제액)

시흥군군 피시 부인은 안남의 창화 사람으로 아버지는 상장군에 추봉   된 휘 금찬이다. 부인은 검교대장군 방청련의 아내로 출가하였는데    부녀자로서의 도리를 지녀 가업을 이룩하였다. 남편인 방씨가 불행하   게도 먼저 작고하니 부인은 과부로 살면서 절개를 지킨지 22년이었    다. 그러다가 81세의 나이로써 대금(중국 금나라) 명창(금나라 章宗   의 耳號) 6년인 을묘년(1195)8월에 병에 걸려 8월10일에 사제에서    작고하니 묘일에 임시로 성의 동쪽 별업에 장사지냈다가 9월초3일에   서울의 북쪽 산에 있는 보광사의 북쪽 기슭으로 이장하였다.

부인은 성품이 길쌈하기를 좋아하여 어린 시절부터 노년에 이르기까   지 여공에 ....하면서 잠깐일망정  조금도 게을리 함이 없었으며, 또    불교를 숭신하여 언제나 관세음보살의 구호를 암송하였다. 아들은 하   나 두었는데, 그는 어려서 내시가 되었으나 춘당의 과거시험에 발탁   되어 곧바로 국자박사겸직사관에 이직되었고 얼마 지나지 않아 뛰어   올라 어사에 제수되었으며 조금후에 시어사.지제고에 제수되었다. 현   재는 또 승진하여 사인에 재임하고 있다. 또 부인의 딸중 하나는 남   편이 현재 좌우위보승의 섭낭장에 재임하고 있으며, 하나는 부인보다   앞서 작고했다. 아! 부인의 여경은 어찌 그리도 성대한가?

銘(명)은 다음과 같다.

  규문閨門을 아름답게 교화하니  종족들이 어질다고 칭송했   도다

  성품이 방적을 좋아하며     ....함이 .....하였네

  백주의 절개을 지킨지       여든 한해에

  휼륭하고 착하고 자애스럽고.....함은 삼천에 드러났다네.

  .....과 사위는               모두 .....하고 현달하였으니,

  쌍주가 .....에 있음은        여경이 전하는 마로다.

   .......                       서와 시를 겸비했도다

  겨우.....을 넘자마자          ........하였도다

  인사는 기약이 있어          바야흐로 죽음을 맞이했는데

  아름다운 일은 덮어 두어선 안되는 법이니 기꺼이 비석에 새겨

  ....하노라

(* 본 역문은 ⟦시흥금석총람 1988⟧에서 전재轉載함)

  * 백주栢舟의 절개:시경의 백주편, 공백의 처 공강이 남편이 죽은 뒤      재가를 불응하고 지은 시로, 미망인의 망부에 대한 절개

    三遷(삼천): 孟母三遷之敎(맹모삼천지교)

    쌍주雙珠 : 두명의 휼륭한 인물로, 아들과 사위를 지칭





3. 사계선생 별서 그림

     (고려대 박물관 고 회화 명품도록 1989)



  * 남원시의 사계정사 (전북문화재자료 제166호)





남양 방씨의 선조 방응현(房應賢)이 조선 중기에 처음 세운 정자이다.정자 옆에 흐르는 냇물은 모래내, 즉 ‘사계(沙溪)’라고 불리운다.

임진왜란(1592년) 때 건물이 불에 타, 이후 후손들이 여러 번 다시 지었다.방응현은 벼슬에 뜻을 두지 않고 학문을 닦으면서 일생을 이곳에서 보냈다.그는 이항, 노수신, 조식, 노진 등 유명인사와 가깝게 지냈으며, 정자 안에는 그들의 글이 여러 편 걸려 있다.건물 가운데 한 칸의 방을 두고 사방에 마루를 둔 구조로서, 일반적인 호남지방 정자의 양식을 따랐다.



         사계정사도 (고려대 박물관 회화 명품도록)



4. 남명 조식선생 문인 : 사계沙溪  방응현 房應賢



    (유현儒賢 연원淵源 및 문인록文人錄 : 한국전고韓國典考        1980 윤갑식尹甲植 청문사淸文社 p556

       : 화담花潭 종유從遊 )



한강寒岡 정 구鄭 逑와 남명南冥 조 식曹 植문하에서 수학하다가 퇴계 선생을 찾아왔던 래암萊庵 정인홍鄭仁弘 <정비석의 퇴계소전退溪小傳>에 두사람의 거동을 살펴보니 정 구는 시종이 여일하게 상정에 따라 행동했지만 정인홍은 하나에서 열까지 상정에서 벗어난 행동을 하고 있었다.

그런 사람이 국가에 무슨 쓸모가 있다고 글을 가르쳐 주겠느냐,

상정을 벗어난 행동을 하는 사람은 언제든지 남에게 해는 주어도 이익은 못주는 법이다.

퇴계에게서 입문을 거절당한 정인홍은 그후 남명 조식의 제자로 다시 입문하여 대학자가 된 것까지는 좋았으나, 정인홍은 벼슬이 높아지자 사색당쟁의 주동자로서 국가에 공헌이 많은 정철, 윤두수, 유성룡같은 조정의 중신들을 모조리 탄핵하여 조정을 크게 어지럽혔고 급기야는 계축옥사까지 일으켜 영창대군을 증살까지하게 했던 것이다.

정인홍은 광해조에 대북파의 우두머리로 관직이 영의정까지 이르렸으나 사색당쟁을 주동하여 국가에 공이 많은 중신들을 탄핵하고 계축옥사을 일으킨 죄과로 인조반정때 참형을 당하고 가산은 모두 적몰되었다고 택리지는 밝히고 있다.

그 뿐만 아니라 정인홍을 제자로 받아 들여, 가르침을 준 경남 협천陜川의 조 남명도 제자의 잘못으로 사후 참혹한 추형을 받게 되었던 것이다.  그의 문인들도 같은 처지에 이르렸음    

(인조반정: 서인의 친명정책)



  . 남명선생 행장 및 사적 p169 (2007. 사단법인 남명학연구원)



5. 정암 (靜菴) 조광조(趙光祖) 문인 : 방귀온(기묘명현)

      (심곡서원지 深谷書院誌 2002 심곡서원발행,

        고려금석원 발간 p711)  



* 방귀온 (房貴溫) 1465(세조11)~?

   조선 전기의 문인, 본관은 남양南陽 자는 옥여玉汝, 호는 금서錦西,

    부는 사정司正 계문戒文, 조광조의 文人이다.  1495(연산군1)년에

    진사進士가 되고, 1517년(중종12)  전라도 관찰사 조원기趙元紀로      부터 부모상례를 잘 치르고, 항시 마음을 돈독히 하며 바른 일에

    철저하여, 효행이 지극한 자로 천거되어 참봉이 되었다.

    1519년 사간원 정언으로 되었다가 같은해 기묘사화로 유배되었다.      1538년 이조판서 윤인경尹仁鏡의 상소로 인하여 신원되었다.

    (참고문헌參考文獻, 중종실록中宗實錄, 국조인물고國朝人物考)



. 중종 14년(1519년)현량과 급제자 28인중 18위(병과),

   중종 기묘신사사화를 당한 기묘명현 159인중 1인.


6. 씨족고 氏族考


  ① 남양 방씨(南陽房氏) (부천 족보도서관)



남양(南陽)은 지금의 경기도 수원(水原)과 화성군(華城郡) 일원을 포함한 지역의 옛 지명으로 고구려 때의 당성군(唐城郡)인데 신라 경덕왕(景德王)이 당은군(唐恩郡)으로 개칭하였고, 1018년(고려 현종9) 수주(水州:수원)와 인주(仁州:인천)에 편입되기도 했으나 1310년(충선왕 2)에 남양부(南陽府)가 되었다.

조선 말기에 남양군(南陽郡)이 되어 인천부(仁川府) 관할이 되었다가 1913년 군을 폐하고 ,그 땅을 나누어 영흥면, 대부면은 부평군(富平郡)에 편입시키고 나머지는 모두 수원군(水原郡)에 합하였다. 그후 수원면이 수원읍(水原邑)으로 승격되었으며, 후에 수원읍 이외의 땅은 화성군(華城郡)으로, 수원읍은 수원시로 승격되었다.

방씨는 중국 청하(淸河)에서 계출된 성씨로서, 요(堯)임금의 아들 단주(丹朱)가 방후(房侯)에 봉해졌으므로, 후손들이 지명을 성으로 삼게 되었다고 하며, 우리나라 방씨는 당(唐)나라 양공(梁公) 방현령(房玄齡)이 634년(당태종 정관8, 고구려 영류왕17) 고구려의 주청(奏請)으로 동래(東來)하여, 남양(南陽)에 사적(賜籍)한 것이 시초가 된다. 그후 상계(上系)가 실전(失傳)되어, 후손들은 고려조에서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으로 삼중대광보국공(三重大匡輔國公)에 오른 방계홍(房季弘)을 일세조(一世祖)로 하고, 선조(先祖)의 사적지(賜籍地)인 남양(南陽)을 본관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방씨의 관향(貫鄕)은 남양을 비롯하여, 수원(水原), 남원(南原), 온양(溫陽), 밀양(密陽), 양산(梁山)등 23본까지 문헌에 전해지나, 모두가 남양 방의 세거지명(世居地名)에 불과한 것으로 알려졌으며, 수원 방씨(水原房氏)의 시조(始祖)로 전하는 방정유(房貞儒:일명 지유)는 남양 방씨의 일세조 방계홍(房季弘)의 손자임이 밝혀졌다.

남양 방씨의 인물로는, 계홍(季弘)의 아들 의강(儀康)이 고려 때 금자광록대부로 평장사(平章事)를 지냈으며, 손자 진유(珍儒)는 추밀원 부사(樞密院府使)를 거쳐 예부 상서(禮部尙書)를 지냈다. 한편 상호군(上護軍) 주(柱)의 아들 사량(士良)은 공양왕(恭讓王)때 직제학(直提學)을 거쳐 전의시승(典醫寺丞)을 지냈고, 그의 아들 3형제 중 장남 구행(九行)은 군자감정(軍資監正)을, 차남 구달(九達)은 군자감 부정(軍資監副正)을 역임하여 대를 이어 가세(家勢)를 일으켰고, 사량(士良)의 증손귀원(貴元:봉교를 지냄)과 옥정(玉精:세자시강원 문학)이 유명했다. 특히 계문(戒文)의 아들 귀온(貴溫)은 정암(靜菴) 조광조(趙光祖)의 문하에서 학문을 연마하고 중종조(中宗朝)에 효행(孝行)으로 천거되어 참봉(參奉)과 사간(司諫院)의 정언(正言)이 되었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로 스승이 사사(賜死)되자 벼슬을 버리고 학문에만 진력했으며, 남명(南溟) 조 식(曺 植)에게 글을 배운 응현(應賢)은 선조(宣祖) 때 농사(農事)를 과학적으로 연구하여 실학자로 명망이 높았다.그외 응현의 손자 원진(元震)은 임진왜란 때 의병을 일으켜 공을 세웠고,광해군(光海君) 때는 난정을 개탄하여 벼슬을 버리고 낙향했다가 인조반정(仁祖反正) 후에 찰방(찰訪)에 천거되어 병자호란(丙子胡亂)이 일어나자 김장생(金長生)의 휘하에서 소모사(召募使)로 활약했으며, 복령(復齡)은 임진왜란 때 창의(倡義)하여 선조(宣祖)로부터 <가히 대장부>라는 칭찬을 받고 공신(功臣)에 책록되어 명성을 떨쳤다.

1985년 경제기획원 인구조사 결과에 의하면 방씨(房氏)는 남한에 총 5,371가구, 22,519명이 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② 한국전고 韓國典考  (1980  尹甲植 淸文社 p332)



. 아국 성씨의 역사는 신라의 23대 법흥왕. 24대 진흥왕시대

  부터 따져 대략 1,500년으로 추정하고 있으나 이조말에

  이르기까지 1차 성씨에 대하여 본격적인 조사연구가 시행

  된 사실이 전무하다.

각종문헌에 기록된 성씨의 종류를 보면 <세종실록지리지>에 365성,   이의현李宜顯의 <도곡총설陶谷叢說>에 298성, 이덕무李德懋의 <앙엽   기盎葉記>에 486성,<증보문헌비고增補文獻備考>에 486성이 기록 되   어 있다.

이들 성씨는 당시에 실재한 성씨라기보다는 제諸 고문헌古    文獻에서  발췌한 것으로 인정하기 곤란하다.

앙엽기<盎葉記>는 이조 22대 정조 13년 당시의 한성부 호적에 의거하여 음운별로 한 407성씨와 동국여지승람에  있는 성씨중에서 동 호적에 없는 79성씨를 합한 것이라 비교적 정확하다고 하겠다.

아국의 성씨에 최초의 조사가 시행되기는 일제 1930년도로  당시 조선총독부는 국세조사를 통해 250성이 현존함을 확 인하였다.

중추원 위탁인 일본인 금촌今寸이 실시한 <조선의 성명씨족에 관한 연구조사>에서는 326성으로 발표되어 76성의 차이를 보임. 차이는 전자는 가구주家口主의 성씨를, 후자는 호적부에 의거한 때문이다. 전에는 있고 후자에 없는 성씨가 15, 후자에 있고 전자에 없는 성씨가 91종이 된다.

1960년도에 전수조사결과 1930년도 보다 8종이 증가된  258종으로 확인 되었다.



. 성씨姓氏의 연원淵源

방씨房氏의 전국인구는 약1만4천명으로 성씨별 인구순위는 80위이며, 本貫은 남양南陽, 수원水原, 천영川寧, 포천抱川, 서산瑞山등 28本이 전하나 대종大宗인 남양방씨南陽房氏의 분파分派 세거世居를 의미한다.

남양방씨 시조始祖 방계홍房季弘은 당唐나라에서 고구려에 귀화, 남양南陽에 사적賜籍했다 한다.

시조는 삼한벽상공신三韓壁上功臣이요 그의 자子는 의강儀康(고종조 평장사高宗朝 平章事)이며 후손으로 방계房桂(공민왕조 평리恭愍王朝 評理), 방사양房士良(공양왕조恭讓王朝 전의사승典醫寺丞), 방구달房九達(세종조世宗朝 군자부정軍資副正), 방구행房九行(세종조世宗朝軍 군자감정資監監正), 방귀온房貴元(세조조世祖朝 봉교奉敎), 방귀온房貴溫(중종조中宗朝 정언正言), 방원진房元震 (선조조宣祖朝 의사義士)등이 있다.

방씨는 1930년도 국세조사國勢調査시 1,715가구중 60%가 전라남북도에 집중해 있었다 한다.

7. 동족부락 일람同族部落 一覽 :1930년도 국세조사통계

     (한국전고韓國典考 1980 尹甲植 淸文社 p680)



●남양방씨 집성촌

   -경기도 화성군 : 없음 (아마 이거가 많은 듯)

   -경기도 수원시 일원, 화성군 남양면 일원

   -남원군 주생면周生面 일대   호수 96

   -전북 남원군 금지면 입암리, 대강면 일원

   -전북 고창군 상하면上下面 자룡리紫龍리 호수 21

   -전북 정읍근 내장면 용산리

   -전남 순천시 송광면松光面 대흥大興리 호수 15

   -전남 승주군 송광면 대흥리  

   -전남 보성군 겸백면 운림리

   -전남 담양군 대전면 병풍리

   -전남 고흥군 도양면道陽面 가야柯也리 호수 29

   -전남 해남군 계곡면溪谷面 일대 (10세대 미만)

   -전남 강진군 도암면道岩面 일대  (10세대 미만)


* 우리나라의 성씨별인구 姓氏別人口



    2007. 10월  여석(如石) 김달곤(金達坤)교수가

    한국의 성씨를 본관별로 조사한 자료를 게재하여

    학형들이 관심있게 보셨을 줄 믿습니다.

    본 자료는 2005년 12월 31일 현재로

    통계청에서 발표한 성씨별 인구 순위입니다.

    그리고 같은 성姓씨 안에서도

    본관별本貫別로 인구수가  많은 순서로 배열하되

    김,이,박씨金,李,朴氏같은 100만을 넘는 대성大姓의      

    경우는  14위 -27위까지의 본관만표시 했습니다.



    인구조사에서 나타난 현존하는  우리나라 274개

    모든 성씨별 인구순위 !



- 성씨별 인구 수에 따라

대성 (大姓 )    1위 -  5위까지   100만 이상.

현성 (顯姓)     6위 - 19까지      50만 이상 .

저성 (著姓)    20위 - 32위까지    20만 이상 .

통성 (通姓 )   33위 - 51위까지    10만 이상 .

과성 (寡姓)    52위 - 63위까지     5만 이상.  

소성 (疎姓)    64위 - 84위까지     2만 이상 .

희성 (稀姓)    85위 -104위까지     1만 이상 .

벽성 (僻姓)  105위  인구가 10,000명 이하.



순위 :성씨.

      같은 성씨 중에서도 인구순위에 따른 본관 순서 !



(大姓)

    1.김(金): 8, 785, 554   1金海  2慶州 3光山 4金寧  5安東舊 6義城 7江陵 8善山

                            9淸風10三陟11延安 12淸道 13商山14全州 15扶安 16順天  

                           17安東新18羅州19彦陽 20靈光 21淸州 22瑞興 23咸昌 24廣州

                           25道康 26開城 27水原

     2. 이李 : 5, 985, 037   1全州 2慶州 3星州 4廣州 5延安 6韓山 7全義 8咸平

                            9陜川 10永川 11碧珍 12固城 13驪州 14仁川 15原州 16眞寶

                           17平昌 18載寧 19德水 20陽城 21咸安 22光山 23公州 24淸州

                           25新平 26龍仁 27牛峰

     3. 박 ( 朴 ): 3, 435, 640   1密陽 2潘南 3咸陽 4順天  5務安 6竹山 7高靈 8忠州

                                9寧海10珍原11尙州12慶州  13蔚山14江陵15春川16陰城

                               17昌原18靈岩19泰安20龜山  21三陟22殷豊23羅州24文義

                               25雲峰 26軍威 27驪州

      4. 최 ( 崔 ): 1, 913, 322 1慶州 2全州 3海州 4江陵  5淸州 6耽津 7隋城 8朔寧

                                9和順 10江華 11朗州 12東州 13永川 14黃州

      5. 정 ( 鄭 ): 1, 780, 648 1東萊 2慶州 3延日 4河東  5羅州 6草溪 7淸州 8海州

                                9瑞山 10光州 11溫陽 12奉化 13瑞山 14全州  


(顯姓 )

      6. 강 ( 姜 ):   958, 163  1晉州  2晉陽  

      7. 조 ( 趙 ):   877, 050  1漢陽 2咸安 3豊壤 4白川 5玉川 6平壤 7金堤 8楊州

                                9林川10 淳昌

      8. 윤 ( 尹 ):   834, 081  1坡平 2海南 3漆原 4南原 5海平 6茂松 7咸安 8楊州

      9.장 ( 張 ): 810, 231    1仁同 2安東 3興城 4丹陽  5結城 6德水 7蔚珍

    10. 임 ( 林 ): 672, 755    1羅州 2平澤 3醴泉 4扶安  5朝陽 6善山 7蔚珍 8恩津

                               9長興

    11. 한 ( 韓 ): 628, 388   1淸州 2谷山  

    12. 신 ( 申 ): 620, 950   1平山 2高靈 3鵝州 4寧越

    13. 오 ( 吳 ): 619, 815   1海州 2寶城 3同福 4咸陽 5羅州 6軍威 7樂安 8錦城

    14. 서 ( 徐 ): 611, 148   1達城 2利川 3大丘

    15. 권 ( 權 ): 567, 768   1安東 2醴泉

    16. 황 ( 黃 ): 564, 265   1昌原 2長水 3平海

    17.송 (宋): 557, 137      1礪山 2恩津

    18. 안 ( 安 ): 556, 391   1順興 2竹山 3光州 4耽津

    19. 류 ( 柳 ): 509, 077   1文化 2晉州 3高興 4全州  5豊山 6瑞山 7江陵 8瑞寧



(著姓 )

    20. 홍( 洪 ): 457, 567    1南陽 * 唐洪土洪 : 2 豊山

    21. 전 ( 全 ): 430, 055   1旌善 2天安 3沃川 4龍宮  5羅州 6慶州 7玉山 8星山

    22. 고 ( 高 ): 384, 012   1濟州 2長興 3開城 4延安

    23. 문 ( 文 ): 375, 765   1南平 2甘泉 3旌善

    24. 손 ( 孫 ): 368, 171   1密陽 2慶州 3安東 4平海

    25. 량 ( 梁 ): 343, 985   1南原 2濟州

    26. 배 ( 裵 ): 323, 004   1星州 2盆城 3慶州 4興海

    27. 백 ( 白 ): 309, 572    水原

    28. 조 ( 曺 ): 304, 810    昌寧

    29. 허 ( 許 ): 264, 228   1陽川  2金海

    30. 남 ( 南 ): 222, 246   1宜寧  2英陽  3固城

    31. 심 ( 沈 ): 219, 737   1靑松  2三陟  3豊山

    32. 유( 劉 ): 218, 445    1江陵  2居昌  3白川 4慶州


(通姓 )

    33. 로 ( 盧 ): 196, 284    1光州  2交河 3豊川

    34. 하 ( 河 ): 184, 621    1晉州  2 晉陽

    35. 유 ( 兪 ): 168, 078    1杞溪  2務安 3耽津 4昌原

    36. 정 ( 丁 ): 165, 381    1羅州  2押海 3靈光 4昌原

    37. 성 ( 成 ): 163, 513      昌寧

    38. 곽 ( 郭 ): 163, 413    1 玄風 2 淸州

    39. 차 ( 車 ): 159, 679      延安

    40. 구 ( 具 ): 157, 526    1 綾城 2綾州

    41. 우 ( 禹 ): 155, 456      丹陽

    42. 주 ( 朱 ): 153, 474      新安

    43. 라 ( 羅 ): 150, 008      羅州

    44. 임 ( 任 ): 147, 694    1 豊川  2 長興

    45. 전 ( 田 ): 146, 662    1 潭陽  2 溫陽

    46. 민 ( 閔 ): 141, 328      驪興

    47. 신 ( 辛 ): 137, 839    1 靈山  2 寧越      

    48. 지 ( 池 ): 125, 624      忠州        

    49. 진 ( 陳 ): 123, 087    1 驪陽  2 三陟      

    50. 엄 ( 嚴 ): 116, 002      寧越          

    51. 원 ( 元 ): 104, 472      原州



(寡姓 )

    52. 채 ( 蔡 ):  97, 634    1 平康  2 仁川  

    53. 천 ( 千 ):  97, 412      穎陽

    54. 방 ( 方 ):  81, 416      溫陽

    55. 양 ( 楊 ):  81, 267      南原

    56. 공 ( 孔 ):  72, 382      曲阜

    57. 현 ( 玄 ):  72, 148      延州

    58. 강 ( 康 ):  69, 776    1 信川  2 谷山

    59. 함 ( 咸 ):  65, 186      江陵

    60. 변 ( 卞 ):  64, 143      草溪

    61. 노 ( 魯 ):  54, 472    1 咸平 2  江華  3 廣州

    62. 염 ( 廉 ):  54, 445      坡州

    63. 변 ( 邊 ):  50, 379    1 原州  2 黃州



(疎姓 )

    64.려 (呂):  48, 914   (咸陽)

    65.추 (秋):  48, 626   (1咸興 2秋溪)

    66.도 (都):  46, 528   (星州)

    67.신 (愼):  40, 769   (居昌)

    68.석 (石):  40, 387   (忠州)

    69.소 (蘇):  39, 709   (晉州)

    70.설 (薛):  34, 262   (1慶州2淳昌)

    71.선 (宣):  33, 664   (寶城)

    72.주 (周):  33, 220   (1尙州2草溪)

    73.길 (吉):  30, 930   (1海平2善山)

    74.마 (馬):  30, 864   (1長興2木川)

    75.연 (延):  27, 852   (谷山)

    76.표 (表):  24, 562   (新昌)

    77.위 (魏):  24, 257   (長興)

    78.명 (明):  23, 371   (西蜀)

    79.기 (奇):  22, 689   (幸州)

  80.방 (房):  22, 519   (+南陽)

   81.반 (潘):  21, 548   (巨濟)

    82.왕 (王):  20, 377   (開城)

    83.금 (琴):  20, 355   (奉化)

    84.옥 (玉):  20, 194   (宜寧)



(稀姓 )

    85. 육 ( 陸 ):   18, 837    (沃川)

    86. 인 ( 印 ):   18, 278    (喬桐)

    87. 맹 ( 孟 ):   17, 635   (新昌)

    88. 제 ( 諸 ):   17, 392   (漆原)

    89. 탁 ( 卓 ):   16, 938   (光山)

    90. 진 ( 秦 ):   16, 435   (1豊基 2晉州)

    91.남궁 (南宮 ): 16, 227   (咸悅)

    92. 장 ( 蔣 ):   16, 106   (牙山)

    93. 모 ( 牟 ):   16, 037    (咸平)

    94. 국 ( 鞠 ):   15, 527   (潭陽)

    95. 어 ( 魚 ):   15, 349   (咸從)

    96. 여 ( 余 ):   14, 733   (宜寧)

    97. 은 ( 殷 ):   13, 626   (幸州)

    98. 편 ( 片 ):   13, 264   (浙江)

    99. 용 ( 龍 ):  12, 320   (洪川)

    100.예 ( 芮 ):  10, 937   (義興)

    101.구 ( 丘 ):  10, 859   (1平海 2恩津)

    102.봉 ( 奉 ):  10, 547   (河陰)

    103.유 ( 庾 ):  10, 279   (茂松)

    104.경 ( 慶 ):  10, 069   (淸州)


(僻姓 )

    105. 정 ( 程 ):   9, 243   (河南)

    106. 진 ( 晋 ):   8, 696    (南原)

    107. 사 ( 史 ):   8, 660    (靑州)

    108. 부 ( 夫 ):   8, 565   (濟州)

    109. 황보 (皇甫): 8, 529   (永川)

    110. 석 ( 昔 ):   7, 959   (月城)

    111. 가 ( 賈 ):   7, 888    (蘇州)

    112. 태 ( 太 ):   7, 406    (1永順 2南原)

    113. 복 ( 卜 ):   7, 370    (沔川)

    114. 목 ( 睦 ):   7, 088   (泗川)

    115. 계 ( 桂 ):   5, 703   (遂安)

    116. 피 ( 皮 ):   5, 440    (1槐山 2洪川)

    117. 형 ( 邢 ):   5, 430   (晉州)

    118. 채 ( 菜 ):   5, 241   (礪山)

    119. 두 ( 杜 ):   5, 076   (杜陵)

    120. 지 ( 智 ):   5, 028   (鳳山)

    121. 감 ( 甘 ):   5, 012   (檜山)

    122. 동 ( 董 ):   4, 644    (廣川)

    123. 음 ( 陰 ):   4, 522   (1竹山 2槐山)

    124. 온 ( 溫 ):    4, 395   (鳳城)

    125. 장 ( 章 ):    4, 329    (居昌)

    126. 경 ( 景 ):    3, 691   (1泰仁 2海州)

    127. 제갈 (諸葛):  3, 652  (南陽)

    128. 사공 (司空):  3, 634  (孝令)

    129. 호 ( 扈 ):    3, 529   (1新平 2保安)

    130. 좌 ( 左 ):    3, 046   (淸州)

    131. 선우 (鮮于):  3, 032  (太原)

    132. 갈 ( 葛 ):    3, 021  (南陽)

    133. 범 ( 范 ):    3, 028  (綿城)

    134. 하 ( 夏 ):    2, 866  (達城)

    135. 전 ( 錢 ):    2, 748  (聞慶)

    136. 빈 ( 賓 ):    2, 647  (達城)

    137. 팽 ( 彭 ):    2, 471  (1浙江 2龍岡)

    138. 서문 (西門):  2, 328  (安陰)

    139. 소 ( 邵 ):    2, 300  (平山)

    140. 승 ( 承 ):    2, 297  (1延日 2光山)

    141. 시 ( 施 ):    2, 203  (浙江)

    142. 상 ( 尙 ):    2, 117  (木川)

    143. 간 ( 簡 ):    2, 074  (加平)

    144. 화 ( 化 ):    1, 990  (晉陽)

    145. 위 ( 韋 ):    1, 952  (江華)

    146. 공 ( 公 ):    1, 881  (金浦)

    147. 강 ( 疆 ):    1, 861  (晉州)

    148. 방 ( 龐 ):    1, 856  (1開城 2太原)

    149. 승 ( 昇 ):    1, 538  (南原)

    150. 시 ( 柴 ):    1, 527  (泰仁)

    151. 진 ( 眞 ):    1, 511  (西山)

    152. 호 ( 胡 ):    1, 487  (1巴陵 2加平)

    153. 로 ( 路 ):    1, 484  (開城)

    154. 우 ( 于 ):    1, 381  (木川)

    155. 반 ( 班 ):    1, 364  (開城)

    156. 섭 ( 葉 ):    1, 351  (慶州)

    157. 단 ( 段 ):    1, 265  (1江陰 2延安)

    158. 견 ( 甄 ):       990  (黃澗)

    159. 국 ( 國 ):       978  (潭陽 )

    160. 순 ( 荀 ):       956  (鴻山)

    161. 도 ( 陶 ):       943   (豊壤)

    162. 당 ( 唐 ):       932  (密陽 )

    163. 강 ( 强 ):       901  (忠州)

    164. 모 ( 毛 ):       873  (光州)

    165. 방 ( 邦 ):       824   (光州)

    166. 천 ( 天 ):       794   (延安)

    167. 창 ( 昌 ):       792  (公州 )

    168. 종 ( 宗 ):       700   (泥波)

    169. 독고 (獨孤):     695   (南原)

    170. 옹 ( 邕 ):       687   (淳昌)

    171. 평 ( 平 ):       648   (忠州)

    172. 근 ( 斤 ):       643   (淸州)

    173. 종 ( 鍾 ):       621   (靈巖)

    174. 추 ( 鄒 ):       604   (海州)

    175. 묵 ( 墨 ):       567   (廣逞)

    176. 마 ( 麻 ):       527   (永平)

    177. 궁 ( 弓 ):       479   (兎山)

    178. 대 ( 大 ):       469   (密陽)

    179. 빙 ( 氷 ):       464   (慶州)

    180. 도 ( 道 ):       459   (固城)

    181. 견 ( 堅 ):       452   (川寧 )

    182. 야 ( 夜 ):       450   (原平)

    183. 풍 ( 馮 ):       449   (臨 ?)

    184. 기 ( 箕 ):       427   (幸州 )

    185. 원 ( 袁 ):       424   (比安 )

    186. 련 ( 連 ):       398   (全州)

    187. 국 ( 菊 ):       381   (靈光)

    188. 연 ( 燕 ):       359   (定平)

    188. 이 ( 異 ):       359   (密陽)

    190. 랑 ( 浪 ):       328   (楊州)

    191. 순 ( 舜 ):       325   (坡州)

    192. 아 ( 阿 ):       315   (尙州)

    193. 장 ( 莊 ):       310   (衿川 )

    194. 내 ( 乃 ):       308   (羅州 )

    195. 구 ( 邱 ):       307   (恩津 )

    196. 만 ( 萬 ):       282   (開城)

    197. 채 ( 采 ):       275   (昌城)

    198. 해 ( 海 ):       270   (金海)

    199. 창 ( 倉 ):       258   (牙山)

    200. 이 ( 伊 ):       249  (太原)

    201. 운 ( 雲 ):       243   (咸興)

    202. 필 ( 弼 ):       238   (大興)

    202. 판 ( 判 ):       238   (海州)

    204. 초 ( 楚 ):       232  (星州 )

    205. 매 ( 梅 ):       230  (忠州)

    206. 군 ( 君 ):       229  (南原)

    207. 요 ( 姚 ):       227  (水原)

    208. 포 ( 包 ):       199  (谷山)

    209. 점 ( 占 ):       198   (槐山)

    210. 사 ( 舍 ):       196  (光山)

    211. 곡 ( 曲 ):       189   (龍川)

    212. 봉 ( 鳳 ):       179   (慶州)

    213. 송 ( 松 ):       177  (松壤)

    214. 동방 (東方):     174  (晉州)

    215. 개 ( 介 ):       165   (驪州)

    216. 미 ( 米 ):       156   (載寧)

    217. 범 ( 凡 ):       154   (安州)

    217. 준 ( 俊 ):       154   (淸州)

    219. 순 ( 淳 ):       141  (益山 )

    220. 수 ( 洙 ):       140  (達城)

    221. 수 ( 水 ):       137   (雲梯)

    222. 한 ( 漢 ):       136   (潭陽)

    223. 종 ( 宗 ):       133   (臨津)

    224. 서 ( 西 ):       129  (大德)

    225. 여 ( 汝 ):       122   (安山)

    226. 돈 ( 敦 ):       113   (淸州)

    227. 삼 ( 森 ):       110   (三嘉)

    228. 뢰 ( 雷 ):       106   (喬桐)

    229. 애 ( 艾 ):       104  (漢陽)

    230. 돈 ( 頓 ):       100  (木川 )

    231. 탄 ( 彈 ):         94  (海州 )

    232. 초 ( 肖 ):         93  (濟州 )

    233. 강 ( 剛 ):         87  (忠州 )

    234. 뢰 ( 賴 ):         87  (槐山 )

    235. 오 ( 伍 ):         85  (白川 )

    236. 돈 ( 敦 ):         83  (淸州 )

    237. 옹 ( 雍 ):         80  (坡平 )

    238. 내 ( 奈 ):         68  (羅州 )

    239. 편 ( 扁 ):         68  (熙川 )

    240. 후 ( 后 ):         66  (唐寅)

    241. 양 ( 襄 ):         59  (驪州 )

    242. 성 ( 星 ):         56  (麗水)

    243. 후 ( 後 ):         55  (昌原 )

    244. 운 ( 芸 ):         52  (始興 )

    245. 단 ( 單 ):         51  (延安)

    246. 비 ( 丕 ):         50  (?西 )

    247. 영 ( 榮 ):         46  (江西 )

    248. 순 ( 順 ):         37  (寧遠 )

    249. 단 ( 端 ):         36  (延安 )

    250. 사 ( 謝 ):         30  (晉州 )

    251. 영 ( 永 ):         25  (康翎)

    252. 예 ( 藝 ):         17  (安邊 )

    257. 궉( ? ):           18  (淸州)

※ 18명 이하의 성씨 13위는 생략하였습니다




8. 남원지의 선조 (南原誌先祖 : 1947초판, 1972증보판)



   ◯ 병자호란과 남원 의병 (인조14년 1636)



    - 창의문과 발기인

     國恩 不幸,奴賊 逼(핍)京, 大駕移駐 孤城, 賊兵 合圍,

     道路阝且絶, 號令 不通, 存亡之 機決, 於呼吸. 言念及此,

     五內如焚. 主辱臣死, 古今通誼. 凡有 血氣者 固當 忘身.

     赴難而 惟我湖南, 素稱 忠義之邦, 勇振義烈 己著.

     況此 君父 在圍之日, 敎書 在圍中 出來, 無非哀痛之語.

     其責望於 道內 士民, 至深切愛矣.

     讀來 不覺 失聲痛哭, 求死而不得也. 惟願 諸君子, 各自

     (奮勵, 振결而起, 糾合同志. 資助兵糧, 剋期齋會于勵山郡,              期以 一心 推慤(각), 以赴 君父之急. 如或 遲回顧望,

     越視秦脊則, 非但 前日 忠烈之風, 掃地 盡矣.

     且 當得 罪於 倫紀, 不容於 鄕國, 書到 無淹 日咎(구)刻.              無相 推稠, 協心 一力, 共濟 國難, 不勝 幸甚.

     崇禎九年十二月 二十五日

     李興悖, 李起悖, 崔 薀, 梁曼容, 柳 이, 黃廷稷, 李 馥

     韓慶生, 金 澕,  李惟馨, 房元震, 梁震潘, 房元亮, 房元井,

     金氵允, 안경달, 이 함, 정 용, 이 실, 이순길, 김원거,

     김원건, 이사헌, 이사경, 김지순, 이국형, 한 황, 김광석,

     황 휘, 김원중, 유 번



     국운이 불행하여 만주족이 쳐 들어 와 서울을 포위하니

     대가는 외로운 남한산성에 갇히셨다. 팔도의 길은 끊어지고,

     방방곡곡에 왕명이 미치지 못하니 국운의 위급함이 어찌 이보다

     더 하리요. 군왕을 위하고 나라를 위하여 몸을 받침은 신자로서

     떳떳한 일. 충의심에 불타는 그대들이여, 호남땅 남원은 예부터

     충의지방이라 하지

     않았던가? 용사난에 끼친 선열들의 얼에 부끄럼이 없도록

     우리 다 같이 궐기하자. 지금 이 시각에도 군왕은 적의 포위중에

     계시면서 교서를 내리셨으니 이 어찌 슬프지 않으리? 생각하면

     군왕이 욕봄은 그 책임이 신자에게 있는 법. 때는 일각의 여유없

     이 급하다. 소매를 떨치고 일어 나라. 그리하여 동지를 모아 뜻을       함께 하여 여산군으로 모여주기 바란다.

     숭정9년(1636) 12월25일

     ...........................................................................

     ...........................................방원진,...방원량, 방원정  

     ............................................................................



◯  이조의 인물



    - 방 윤房 允 : 영조35년(1759)에 출생 아호를 탄서灘西,

        둔세정遯世亭 방대순房大順 의후손, 헌종때에 진사進士를

        하여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역임.



◯ 음 사 (蔭 仕)



    -방윤집 房允執 :아호 月川, 숙종26년 경진(1700년)출생.

                참의공參議公 방태모房泰模의 子, 가선대부

                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증직贈職

    -방희상 房禧相 : 영조 37년 신사(1761년)출생.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증직贈職

    -방유상 房有相 : 정조 원년 정유 (1777년)출생.

              호조참의戶曹參議 방준언房濬彦의 자子.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戶曹參判 증직贈職

    -방환일 房煥日 : 정조 13년 (1789년)출생

              참의參議 방회상房會相의 자子, 장수長壽로 호조참판

             겸 戶曹參判兼 오위도총부五衛都摠府 부총관副總管의

              벼슬 함.

    -방환장 房煥章 : 아호를 화은花隱, 정조20년 병진(1796)년 출생

             호조참판戶曹參判 방유상房有相 의 자子,

             고종12 을해(1875) 장수長壽로 가선대부嘉善大夫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의 벼슬 내림.

    -방사규 房士圭 : 아호를 죽헌竹軒, 순조19년 (1819년)에

             출생, 사계 방응현 沙溪 房應賢의 후손後孫인 방환수房

             煥壽의 자子, 가선대부嘉善大夫겸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

             府事의 벼슬을 증직贈職.

    -방병규 房秉圭 : 순조20년 (1820년)출생,

             부총관副總管 방환일房煥日의 자子, 고종말에 가선

             대부嘉善大夫겸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를 증직贈職함

    -방환규 房煥圭 : 아호를 삼락당三樂堂, 순조32년(1832년) 출생

             부총관副總管 방환일房煥日의 자子, 가선대부嘉善大夫,                호조참판 겸戶曹參判 兼 동지의금부사 同知義禁府事의                벼슬을 증직贈職

    -방진주 房鎭注 : 아호를 삼은蓼隱, 헌종13 정미(1847년)출생,

             고종 광무9년 을사(1905년)에 통정대부通政大夫 벼슬함



   ◯ 효 열 孝 烈



     -방명선 房明選 : 선조22년(1589년)기축 주생면 지당리 출생

         무과武科에 과거科擧 선전관宣傳官이 되었는데, 이 괄李 适

         의 갑자난甲子亂에 적을 무 찔러 공功이 많았다. 봉산군수鳳           山郡守를 지낸 일이 있으며, 고종30년(1893년)계사癸巳에 명

         정命旌의 은전이 내려 지당리에 그 정려旌閭가 전하여 옴.



                 정려충신문 (휘 명선 정려)

                           소재 : 남원시 주생면 지당리



     - 효부열녀 孝婦烈女

       . 박씨 부인 朴氏 夫人 (방세정房世挺의 처妻)

         반남박씨潘南朴氏로 참판參判 박동망朴東望의 손녀孫女로

          인조13(1635년) 을해乙亥에 출생, 현감縣監방원량房元亮의            며느리요, 방세정房世挺의 처妻인데 불행히도 19세歲 꽃다

          운 나이에 남편男便을 사별死別하여 청상과부가 되니, 마침            내 남편의 시체옆에 스스로 자결하여 부군夫君뒤를 따랐다.

          조정에서는 그의 열부烈婦됨을 가상히 여겨 현종8년(1667

          년)정미에 명정命旌하는 은전恩典을 베풀어 그의 영혼을             달래었다.



휘 세정 배 반남박씨지 정려

소재 :만원시주생면영천리



  - 라씨 부인 羅氏 夫人 (방윤모 房允謨의 처妻)

      금성라씨錦城羅氏, 영조시대에 진사 라천승羅天昇의 손녀孫          女로서 방윤모房允謨의 처妻이다. 남편이 일직 요사夭死하니 하       늘에 지은 죄를 혼자 살수 없다하여 남편의 뒤를 따라 순절하니,       조정에서는 그의 열녀烈女임을 가상히 여겨 명정命旌하니,

     유천암상楡川岩上에 그 정려旌閭가 전하여 옴.




                 휘 윤모 배 나주라씨 지정려

                              소재: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 남원향교 南原鄕校 전교典敎

    -  6대  방준일 房濬馹  1816년생 증손 태규太圭

     - 35대 방하영 房河永(매암梅岩) 1874년생 후손 극섭 極燮

     -       방인원 房仁源



  ◯  서원 書院 : 유천서원 楡川書院(순조30년 1830년 건립)

                 남원 주생면 영천리 소재

      (배향인물)  행은杏隱  방사량 房士良,

                  금서錦西  방귀온 房貴溫,

                  죽암竹巖  안  탁 安 琢,

                  사계沙溪  방응현 房應賢,

                  매담梅潭  안창국 安昌國



         1868년(고종5년) 대원군 서원철페령에 훼철되어

         안탁, 안창국의 위패는 순흥안씨 문중으로 옮겨가고,

         행은, 금서, 사계공의 위패는 유허지에 묻고,

         제단 마련 향사를 계속하여 왔음.

         1909년 제단 앞에 오현 서원 유허비 세웠으며,

         1975년 서원터와 유허비가 전라북도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음.



                   유천서원(오현서원)

              전북문화재 52호 소재 : 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유천서원(오현서원)내 삼현지단

                   전북문화재 52호  소재:남원시 주생면 영천리




  Ⅴ. 한국과거사 韓國 科擧史

           (1987 편홍기저 片泓基著 명의회明義會)



    1. 이조과방록 李朝科榜錄



     이조 500년동안 740여회의 과시를 치룬 결과 14,600여명의

    급제자를 내었고, 이에 관련 성씨는 123이며, 문중(본관별)은 290      여에 이름.  초기에 진시과進士科라는 것은 갑과甲科가 없고, 을과      乙科, 병과丙科, 진시과進士科로 나누어 졌기 때문이며,

    세종20년 식년시式年試(자,오,묘,유 子,午,卯,酉)

    을과乙科, 병과丙科, 정과丁科로 나누어 지고, 을과1등 乙科1等,       을과2등乙科2等, 을과3등乙科3等으로도 나누어졌다가, 세조14년

    식년시式年試부터 갑과甲科, 을과乙科, 병과丙科로  나누어 졌음.

    식년시式年試가 원칙이었으나, 태종1년에 증광시增廣試라 하여,

    임시로 과거를 보인 이래 세종11년 알성시謁聖試, 세조3년 별시別      試, 세조6년 평양에서 처음열린 외방 별시外方 別試, 중종14년 현

    량과 賢良科, 선조5년 춘당대시春塘臺試, 영조23년 기로과耆老科

    등 수시로 과거를 보는 풍조가 생겼고, 태종7년의 중준시重俊試등

    의 중시重試를 보여 이미 등용된 문신文臣들에게 왕王이 친히 시

    험을 보여 합격자合格者 들을 더욱 중용重用했다. 후기後期에는

    과거를 너무 자주 본 결과 합격해도 등용되지 못하여 고관高官에

    게 뇌물을 받쳐 등용운동을 하고, 뇌물과 정실로 합격여부가 결정      되고, 또한 당파의 소속에 따라 합격이 좌우되고, 고관의 자제는

    무조건 합격되는 등 극도로 문란해 지기도 했음



    . 백패 白牌  : 소과 小科 (사마시司馬試, 생진과 生進科 :

                            생원.진사 生員,進士,)합격자,

      홍패 紅牌  : 대과 大科 합격자

    . 합격 合格 33인 : 갑과 甲科 3인, 을과 乙科 7인, 병과 丙科

                       23인

    . 장원 壯元             갑과 甲科 1등  : 종7품에 임용,

      방안 榜眼 (아원亞元)  갑과 甲科 2등  : 종8품   “

      탐화 探花             갑과 甲科 3등  : 종9품   “  

      을과, 병과                           : 종9품    “



   - 남양방씨 南陽 房氏 (9명)

     . 방문중 房文中 태종14년 갑오 식년시 을과2  

     . 방구달 房九達 태종14년 갑오 친시   을과3   (父 士良)

     . 방구행 房九行 세종 2년 경자 식년시 을과진사(父 士良)

     . 방귀원 房貴元 세조11년 을유 춘시   정과    (父 恂文)

     . 방옥정 房玉精 성종 3년 임진 춘시   을과    (父 有倫)

     . 방귀온 房貴溫 중종14년 기묘 현량과 병과    (父 戒文)

     . 방원정 房元井 인조24년 병술 식년시 병과    (父 德驥)

     . 방철모 房喆謨 영조23년 정묘 식년시 병과    (父 泰復)

     . 방윤익 房允翼 정조 1년 정유 식년시 을과    (父 泰潤)




○ 과거 급제자



     남양 방씨는 조선시대 문과 급제자 9명, 무과 급제자 9명,

     사마시 34명 등 과거 급제자 52명을 배출하였다.



  문과

     방구달(房九達) 방구행(房九行) 방귀온(房貴溫) 방귀원(房貴元)        방문중(房文中) 방옥정(房玉精) 방원정(房元井) 방윤익(房允翼)        방철모(房喆謨)

  무과

     방두기(房斗紀) 방복령(房復齡) 방선남(房善男) 방시원(房時騵)        방시유(房時騟) 방애정(房愛丁) 방응두(房應斗) 방태신(房泰臣)        방호생(房好生)

  생원시

     방귀화(房貴和) 방길원(房吉元) 방덕린(房德麟) 방덕준(房德駿)        방두위(房斗緯) 방명소(房明熽) 방명수(房明秀) 방세기(房世機)        방수인(房洙仁) 방연록(房延祿) 방옥정(房玉精) 방원진(房元震)        방위원(房緯元)  방 윤(房 允)    방태근(房泰謹)  방태옥(房泰)

     방태하(房泰河)  방호인(房好仁)

  진사시

     방귀온(房貴溫) 방귀화(房貴和) 방명섭(房明燮) 방명엽(房明燁)        방명욱(房明煜) 방명진(房明晉) 방명훤(房明烜) 방언우(房彦佑)        방옥정(房玉精) 방원량(房元亮) 방원정(房元井) 방처인(房處仁)        방태연(房泰淵)  방필언(房弼彦)  방하규(房夏圭) 방호인(房好仁)


2. 고려과방록 高麗科榜錄



     . 방연보房衍寶  명종27년 갑과.

     . 방중량房仲良  우왕3년  진사.(父: 柱) : 고려문과



* 방서란(房瑞鸞) : 고려중기 문신. 선주(宣州)의 향공진사(鄕貢進士)                출신이다. 1176년(명종 6년) 조위총의 난이 진압되는                 데 기여하여 형 방효진(房孝珍)은 산원(散員)에 오르고,                방득령(房得齡)은 선주 호장(戶長)에 임명되었다.



  3. 현대의 인물



-방례원 房禮源 : 1918,1,18 주생면 지당리 429에서

     방진영房鎭瑩의 2남으로 출생, 장남 인원仁源은 선영先塋을 지킴

     1931년 금지국민학교에 졸업, 1936년 전주고등보통학교졸업,

     1939,3.19 보성전문학교 (3년제:고려대학교 전신) 졸업,

     이때 나이는 22세임,  1946.4.6 사법요원 입소시험에 합격, 2년

     간 연수과정거쳐 30세에 초임으로 1948.4.1.전주지방법원 판사,

     6년간 근무, 1954.1.5. 대구고등법원부장판사로 발탁,2년후 1961

     .8.26. 광주지방법원장의 요직에 올랐으니 43세 였음. 7년간근무,       1968.11.3. 부산지방법원장으로 영전, 22년간 5개법원을 이동,

     한군데에서 평균 4년5월을 근속, 1년이 멀다하고 이동이 잦은 타

     공무원에 비해 좋은 대조가 됨.

     그후 대구고등법원장, 서울고등법원장을 거쳐, 선거관리위원장을        역임하였음.  

     저서로는

        <강제집행 임의경매법>,<판례집 상.중.하>이 있다.

        이는 법조계에서 애용되는 귀중한 주옥편이다.

     생활신조는<直者 是是非非 不敢 自欺之謂>곧은것이란

       옳고 그름을 가리되 스스로를 속이지 않는다로 법관으로서의

       의연한 자세를 엿볼수 있다.



-방치원 房致源 : 1932,5,20 주생면 지당리 429에서 방진봉

        房鎭鳳의 삼남三男으로 출생, 고향에서 초등학교를

        줄 곳 수석으로 졸업, 전주중학교와 전주고등학교를 졸업

        전남대학교 의과대학을 1959년(29세)에 졸업,

        대학원에서 석사,박사과정을 마치고 동대학 의대 조교와

        전임강사를 역임, 1969 전주도립병원 소아아과병원을 개원함.          저서로는 <소아혈청및 뇌척추액내의 유리지산함량>석사,

        <세균면역 혈청의 방어능력>박사학위논문 있음.

- 방극윤 房極允 : 1939년, 전북 남원 출생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동 대학원 행정대학원 졸업

       행정고시 합격.  광주, 서울지방노동청장등의 공직을 거쳐

       근로복지 이사장(1급 관리관) 역임,

       현 한국사회보험연구소 이사장

       아들 방시혁은 서울대학교를 졸업, 작곡가로 활동,

       딸은 이화여자대학교 작곡과 전공한뒤, 현재는 보석디자이너

       로 활동하고 있음




- 방극성 房極星 : 1955년, 남원 주생면 출생

         전주고등학교, 서울대학교 법학과, 동대학 대학원 졸업

         1980년 제22회 사법시험합격. 제12기 사법연수원

         1985년 전주지방법원 판사. 군산지원 지원장,

         전주지법 부장판사, 남원지원 지원장, 광주고법 판사

         2008 광주고등법원 수석부장판사,

         2009년 9월 제28대 전라남도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2011년 2월 제주지방법원 법원장,

         2012년 2월 광주고등법원 부장판사,

         2013년 2월~2014년 2월 전북 선거관리위원회 위원장

         2013년 2월 제47대 전주지방법원 법원장

         2014년 2월~  제34대 광주고등법원 법원장으로 재직중임.

        1980년 사법시험에 합격, 사법연수원 12기 수료함,

        1985년 전주지법 판사로 임용된 이래 광주와 전남,

        전북 소재 각급법원에서 근무해 지역사정에 밝고,

        재판 실무와 법 이론에 정통하다는 평가를 받음.

        행정사건에서 행정청의 재량권 남용으로 침해된 소수자

        권리 구제를 위한 판결을 다수 선고 한 바 있음.

        형사사건에서는 무죄추정의 원칙을 엄격하게 적용하면서도

        중범죄를 엄단했다는 평가를 받았고, 민사에서는 생동감 있는

        공방이 이루어 지도록 유도하는 유연한 재판진행으로 정평이

        나 있다. 특히 제주지방법원장 재직시절 관급자재 선정 권한

        이 았는 형의 지위를 이용하여, 납품업자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은 피고인에게 실형을 선고하는등, 사회지도층 범죄에 엄정

        하게 대처하고, 원칙에 따른 법집행에 힘을 쏟았다는 평을 받

        았고, 이후 광주고등법원 재판장으로 다시 복귀해 평생 법관

        으로 지내겠다는 신념과, 풍부한 행정경험을 바탕으로한 폭넓          은 시각과 부드러운 성품으로 후배 법조인들의 깊은 신뢰와

        존경을 받았음.  가족으로는 부인 이은경여사와 1남2녀를 둠



- 방하남 房    : 1957년, 전남 완도 출생

        외국어대학교 영어학과 졸업,

         미 밴더필트대학교대학원 사회학과 석사,

         위스콘신대 매디슨교 대학원 사회학과 박사 학위

         첫 노동연구원 출신으로 제4대 고용노동부 장관 역임

         한국노동연구원연구조정실장,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

         한국노동연구원 고용보험연구센터소장

         한국노동연구원 노동시장 연구본부장

         노동부 근로복지정책 자문위원  

         경제사회발전 노사정위원회 수석전문위원

         고용노동부 고용보험위원회 위원,  한국사회보장학회 회장

         중앙대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 겸임교수

         한국연금학회 부회장, 한국연금학회 회장

         제18대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고용복지 전문위원

         제4대 고용노동부 장관 (2013. 3월 ~ 2014.7월)    

         한국외국어대학교에서 영어과를 졸업, 밴더필드대학교대학            원의 사회학과에서 석사학위를 취득하였고, 위스콘신대 매디           슨교 대학원의 사회학과에서 박사 학위를 받음.

         박사과정 중 미국 빈곤문제연구소에서 연구원으로 근무하             기도 했으며, 이후 한국노동연구원으로 옮겨, 17년간 대한            민국의 장년 고용 및 연금제도 관련연구등을 주도 했다.

         한국노동연구원에서 연구조정실장과 고용보험연구센터소장

         , 노동시장연구본부 본부장 등을 지냈다. 그 밖에도 중앙대            학교 사회과학대학 사회학과 겸임교수 및 한국연금학회 부            회장 등을 지내는 등 고용복지 이론을 현실과 접목하는데

         주력하였음.   저서로는 「고용의 질 평가」,

         「중장기 노동정책의 비전과 전략」,

         「고령화시대의 노동시장 변화와 노동정책 과제」가 있음



  - 방준혁  :


     방준혁  유럽한인경제인단체총연합회 회장은 유럽 한상의 산증인이다.
     방 회장은 이 단체의 초대부터 3대 회장까지 역임했다.

     한상 모임이 유럽 지역에 뿌리 내리는 데 산파역을 담당한 셈이다.
     1970년 독일로 건너간 방 회장의 인생은 고난의 연속이었다.
     유럽으로 건너간 뒤 광부에서 엔지니어까지 안 해본 일이 없을 정도다.
     이와 같은 역경이 방 회장이 한상 네트워크 결성에 열의를 갖게 만든

     원동력이 됐다.
     잘나가던 4급 법원 공무원이었던 방 회장이 독일로 건너간 것은 외국에 나가

     살고자 하는 욕망 때문이었다.
     방 회장은 "공무원 신분으로 외국에 나가기 어려웠다" 면서

     "당시에 나름대로 엘리트 소리도 들었지만 외국생활을 너무 해보고 싶어

     이를 박차고 독일로 나갔다"고 회상했다.
     방 회장은 1970년부터 독일에서 광부로 일하기 시작했다.

     책상에 앉아서 펜대를 잡던 사람이 갑자기 고된 육체노동을 하는 게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었다.
     방 회장은 "그래도 죽기 살기로 일했다"면서 "외국에 나와 있으니 먹고사는

     게 전쟁과 같았다"고 말했다.

     외국에 사는 한인들이 겪는 생존의 고통이 방 회장에게도 예외가 될 수

     없었다.  3년간 광부 생활을 한 방 회장에게 새로운 기회가 찾아왔다.
     메르세데스-벤츠의 한국인 최초 엔지니어가 된 것이다.

     이후 이 경력을 기반으로 한국에서 벤츠 수입 사업을 해보려고도 했다.
     방 회장은 "벤츠 수입 사업을 한국에서 해볼 생각을 갖고 있었지만

     자금과 시기 등이 맞지 않아 포기했다“ 면서 "이후 독일 생활을 계속한 것이

     오히려 더 좋은 기회가 됐다"고 말했다.
     방 회장은 이후 아프리카 베닌, 앙골라, 가나 등에서 자원개발 컨설팅 사업을

     시작했다.
     1980년대부터 발트 컨설팅을 설립해 사업을 영위하면서 아프리카 지역 고위

     관료들과 탄탄한 인맥을 형성했다.
     방 회장은 "아프리카 관료들과 맺은 인맥이 지금까지 사업에 큰 자산이 되고

     있다"고 말했다.
     방 회장이 결성한 유럽한인경제인단체총연합회는 현재 회원 수가 1200명에

     이른다.  주로 식품ㆍ요식업ㆍ여행업에 종사하는 회원이 다수를 차지한다.
     유럽한인경제인단체총연합회는 20일 경북대병원, 울산상공회의소와 각각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방 회장은 "유럽 지역 한상들은 어려운 여건 속에서 고군분투하며 살고

     있다"면서 "이번 MOU 체결이 유럽 지역 한상들의 네트워크를 강화하는

     계기가 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2015.8.15.)



- 방수원 房水源 : 1960년, 경북 경산 출생. 본명은 방승환

        1982년 해태타이거즈 우완 투수 (1982~1989년 선수경력),

       해태타이거즈 투수코치 (1990~ 95년),

       한국 프로야구 1호 노히트 노런 타이틀 보유

      전 한국 프로야구 해태타이거즈 투수, 광주제일고등학교를 졸업,        영남대학교를 중퇴한 뒤 해태 타이거즈 원년 멤버로 입단하여,        원년 팀 개막전에 선발 투수로 등판하였음. 가장 많은 승리를         올렸던 해가 원년의 6승에 불과했고, 이후 투수로서 별다른 활        약을 보여주지 못해, 중간계투 또는 패전처리로 주로 등판함.

      1984년 5월5일 당시 마땅히 선발로 올릴 투수가 없었던 김응용        감독이 광주 삼미전에서 우연히 그에게 선발 등판을 지시해서,

      한국 프로야구 사상 첫 노히트 노런을 기록하게 되었고, 그 경        기가 그 해 유일한 승리였다. 그러나 이후에도 별다른 활약을         못하고, 1989년을 끝으로 마운드에서 물러난다. 이후 해태 타이        거즈의 투수 코치를 거쳐 현재는 골프 프로로 활동하고 있음.

      통산 기록은 18승 29패 18세이브, 평균자책 3,75였음.



- 방승환  : 전통타악연구소 (예술단장)

        전남 고흥군 도덕면  가야리 동촌출신 (혁자 항렬)

  도양북초등학교 교감 방복순의 제자, 전 정동극장 공연단장

  현 한옥마을 예술단장

     9일 오후 서울 남산골 한옥마을 야외무대에선 전통타악연구소         방승환 예술단장(51)과 단원들의 리허설이 한창이었다.

     둥둥 둥둥둥 대고의 모듬북이 울리며 공연의 흥을 예고했다.

     그래서 물었다. 나눔 예술 키워드가 신명 아니냐고  "맞아요.

     언젠가 노인시설 관계자가 그러더군요. 판에 박은 둣한 무용에        다 민요로만 공연을 짜는데, 그게 아니라고 말이죠.“

     방 단장의 '젊어지는 타악 콘셉트는 그렇게 나왔다. 우리 전통         타악에 남미 음악을 접목한 것 "5인조 안데스 음악 그룹 유야리       "는 페루 사람들로 제가 직접 현지에 가서 뽑았습니다.

     음악을 전공하고 작곡능력도 있어요“

     국립국악원과 서울시무용단을 거친 방 단장은 독립예술단으로 드       물게 월급제로 단체를 운영한다. 형편이 어려워도 좋은 공연을        위해서라면 음향, 조명등에 기꺼이 돈을 들인다.

     "미래관객인 어린이 교육에 집중해요. 초등학교 4학년때 공연을       보고 훗날 단원이 된 제자도 있어요.

     어릴적 교감 선생님의 지도가 없었으면 지금의 저도 없었겠죠"

-박길명 나눔예술특별기고가-- (2015.8.15.)



- 방시혁 房시爀 : 1972년생, 경기고, 서울대학교미학과 졸업.

      재학 중에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하였고. 작곡가        겸 음악PD로 수많은 히트곡을 제작했고, 빅히트 엔터테인먼트의        대표이사이다. 스타오디션 위대한 탄생의 심사위원으로도 활동        했다. 2010년 엠넷 20`s 초이스 가장 영향력 있는 20인 선정,        2011년 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작품상 등을 수상했다.

     근로복지공단 이사장을 역임한 방극윤의 장남, 여동생은 이화여       자대학교 작곡과를 졸업한 뒤 현재는 보석디자이너로 활동함.

     그가 음악계에 발을 들여놓게 된 것은 중학교 시절 밴드 활동을       시작하면서부터다. 다양한 악기가 가져다주는 생기 넘치는 소리       에 흠뻑 취했다고 한다. 중학교 때 배운 기타로 음악인을 꿈꾸       기도 했지만, 공부 잘하고 말 잘 듣는 모범생이었던 방시혁은         부모의 뜻에 거스르지 않기 위해 공부에 매진했다. 하지만 음악       에 대한 열정을 포기하지 못하고, 서울대학교에 입학하면서 본격      적인 음악활동을 했다. 1995년 남성듀오 체크의 ‘인어아가씨’로       작곡가 데뷔했고, 같은 해 열린 제6회 유재하 음악경연대회에서       동상을 수상했다. 1997년 박진영에 발탁돼 JYP 엔터테인먼트에서      프로듀서로 활동하면서 박진영 3집 수록곡 ‘이별탈출’을 시작으로      god ‘프라이데이 나이트’, ‘하늘색 풍선’, 박지윤 ‘난 사랑에 빠졌      죠’, 비 ‘나쁜 남자’ ‘아이 두’ 등을 작곡했다. 2005년 독립하여 빅      히트 엔터테인먼트를 설립하고 대표이사로 재직하며 임정희, 에이      트, 2AM, 방탄소년단 등의 음반을 프로듀스하고 있다. 백지영의       ‘총 맞은 것처럼’, 에이트의 ‘심장이 없어’, 2AM의 ‘죽어도 못 보      내’, 현대자동차 i-30 CM송 ‘달라송’ 등이 방시혁의 작품이다.

    방시혁은 2011년 4월 27일 모교 서울대학교에서 '언론정보문화       포럼시리즈'의 강연자로 초청돼 '오디션 프로그램의 흥행'에 대한      강의를 했다.

   수상 경력으로는

     1997년 제6회 유재하 가요제 동상

     2009년 제1회 멜론 뮤직 어워드 송 라이터상

     2010년 제4회 Mnet 20's Choice 가장 영향력 있는 스타 20인

     2011년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발라드부문 작사가상,작곡가상

     2011년 제1회 한국음악저작권대상 작품상 이 있음


- 방효진 房孝珍 : 1988년, 전남 장성 출생. 양재고등학교 졸업

     예명(藝名) 고은아로 더 알려짐, 소속사 웰메이드스타엠 남동생은

     엠블랙의 미르임.

  . 주요작품으로는

     영화《...ing》(2003): 학생 5역,《잔혹한 출근》(2006): 태희 역      《썬데이 서울》 (2006) : 지연역,

    《배케이션》(2006) : ep.1 - 수연 역

    《사랑방 선수와 어머니》 (2007) ... 옥희 역

    《외톨이》 (2008) ... 정수나 역, 《10억》(2009) ... 이보영 역

    《스케치》 (2014) ... 수연 역

  . 드라마

     2005년 KBS 단막극《드라마시티-여름, 이별이야기: 연우 역

     2005년 MBC 청춘시트콤 《레인보우 로망스》 : 고은아 역

     2005년 KBS 미니시리즈 《황금사과》 : 금실 역

     2012년 채널A 미니시리즈 《K-팝 최강 서바이벌》: 지승연 역

  . 방송

     SBS 인기가요,  극장드라마 – 베케이션,

     통일부 모델 -국민속으로 (고은아편),  Mnet -텐트 인 더 시티

  . 뮤직비디오

     러브홀릭 – Sky,  KYO – Cross,   조규찬 - 잠이 늘었어,

     이승철 - 열을 세어 보아요,  VOS - 시한부

  . 광고

     오리온 초코파이,  롯데제과 팅클,   인투인,   PSP,  

     광동제약 비타 500,  농심 양파링,  온세통신,  A 솔루션,

     스마트학생복,  클린앤클리어,  LG 싸이언, 포카리스웨트,  

     카스피 코너스,  알로애,   1677콜렉트콜  

  . 홍보대사

     2006년-서울시 수돗물 홍보대사,  2009년 플랜코리아 홍보대사


- 방철용  : 1991년, 전남 장성 출생. 장성 약수초,중학교.

           장성실업고등학교, 경희사이버대학교 정보통신학교

           예명(藝名) 미르(Mir), 2009년 그룹 에블랙 래퍼로 데뷔함

    . 음악 활동

       작사/ 노래 제목 / 〈you're my +〉

       ost/ 〈알고 있었어

       피쳐링/〈못된 사랑,〈미쳐가,〈사랑을 적어요,〈알고 있었어,               기억하나요〉

      랩메이킹/ 〈you're my +〉,〈알고 있었어〉,〈기억하나요〉

   . 뮤직비디오

      2010년 안진경 <못된 사랑>,    2010년 간미연 <미쳐가>

   . 방송 활동

      2009.11.4~2009.12.2 Mnet 《M.BLAQ 작업의 정석》

      2009.11.7.~2012.2.13SBS E! 《아이돌 막내 반란 시대》

      2009.12.16.~2010.3.31.MBC every1《아이돌 군단의 떴다!                                                그녀 시즌5》

      2010.5.22.~2010.8.7 SBS MTV 《아이돌 유나이티드》

      2010.8.19.~2010.9.16. Mnet 《김수로의 명문대 특별반》

      2012.5.17.~2012.5.17. MBC 《정보석의 쥬얼리 하우스》

      2013.4.14.~2013.6.2.  MBC 《진짜 사나이》

      2013.7.13. 토요일 KBS2《세대공감 토요일》181회 배우

                                    최영완씨와 함께 출연

      2013.12.24.~2014.5.6.  Mnet 《비틀즈코드 시즌 3D》

      2014.1.10.~2014.5.9 투니버스 《난감스쿨 2》

      2014.10.23.~ tvN 《오늘부터 출근》      



- 방건우  : 1996년생, 광주 수창초, 무등중, 동성고등학교 졸업

      우완투수, 2015 두산베어스 입단 한국 프로야구 선수




* 중국영화배우  성룡의 본명이 방사룡(房仕龍, 팡 스룽)이며,

     방현령의 후손이라고 함.



      * 이외에도 여러 분야에서 크게 활약하시어 성공하시고,

           휼륭하신 종친들이 많이 계시나 알려지지 안했고,

           본인들이 소홀히 생각하시어, 알리지 않고 있는 실정이므로,

           계속 조사되여 기록해 나갈 수 있도록, 여러 종친들이

           추천해 주시거나, 본인이 약력등을 적어 보내 주시면,

           후손들의 우리 남양방씨 선조가 휼륭한 분들이라는

           자긍심 고취에도 많은 도움이 되고, 또한 우리 가문의

           역사가 되므로, 수수럼없이 자료들을 제공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한국인韓國人의 족보族譜


- 남양방씨 (南陽房氏)


. 유래

  시조 : 방준(房俊)

  시조 방준(房俊)의 선조는 중국 요임근의 아들 단주가 방읍의 후로    봉해져 지명인 방을 성으로 하였다. 그후 고구려때(당나라정관17년)

  에 8학사를 파견할 때에 단주의 후손이며 당나라 재상인 방현령의

  둘째아들 방준이 8학사 중의 한사람으로 고구려에 와서 남양에 정착    하여 살면서 남양을 본관으로 하였다. 그후의 후대는 알 수 없다가    고려때에 벽상공신 삼중대광보국을 역임한 방계홍을 1세 조상으로     하여 대를 이어오고 있다.



. 과거급제자 (조선시대)


  방구행(房九行): 문과(文科) 세종2년(1420)식년시 동진사(同進士)

  방원정(房元井,1593癸巳生) : 문과(文科) 인조24년(1646) 식년시

                               병과(丙科)

  방문중(房文中,1593癸巳生) : 문과(文科) 태종14년(1414) 식년시

                               을과(乙科)

  방귀원(房貴元,1593癸巳生) : 문과(文科) 세조11년(1465) 춘당대시                                  정과(丁科)

  방철모(房喆謨,1725乙巳生) : 문과(文科) 영조23년(1747) 식년시

                                병과(丙科)

  방구달(房九達,1725乙巳生) : 문과(文科) 태종14년(1414)  친시

                               을과(乙科)

  방옥정(房玉精,1725乙巳生) : 문과(文科) 성종3년(1472) 춘당대시

                              을과(乙科)

  방윤익(房允翼,1720庚子生) : 문과(文科) 정조1년(1777) 식년시

                              을과(乙科)

  방복령(房復齡,1562壬戌生) : 무과(武科) 선조34년(1601) 식년시

                              병과(丙科)

  방애정(房愛丁,1604甲辰生) : 무과(武科) 인조15년 (1637) 별시

                              병과(丙科)

   등 모두43명의 과거급제자가 있다. (문과8명,무과5명,사마시 30명)


▣ 항렬자

  21世 : 기(箕),만(萬),응(應),교(敎),태(泰),봉(鳳)

  22世 : 수(繡),욱(旭),창(昌),성(聖),준(濬)

  23世 : 두(斗),상(相),익(翼),채(采)

  24世 : 환(煥),세(世)

  25世 : 규(圭)

  26世 : 진(鎭)

  27世 : 원(源)

  28世 : 극(極),주(柱)

  29世 : 혁(爀)

  30世 : 기(基)







加微信关注,房氏信息、动态、活动及时知晓!




感恩.感谢世房平台,让天下房氏一家亲!
每一次的相逢,带来是四千多年浓浓的亲情!
我姓房,我自豪!豪而有涵!
海内外5000多房家宗亲关注此公众号!(还不断加入)
如需要展示你公司企业信息请联系!
如需发表联谊动态、新闻、供求等信息请到房氏网论坛!
各类活动、谱系信息请编辑好发往房氏网存档,宣传:网站展示能面向全球八十多万房氏宗亲,各大小活动只能由当地宗亲收集整理发送网站,让外地宗亲更多方位了解当地同宗动态。
加入方法有三种
A:查找微信公众帐号,输入“世界房氏”等关键字搜索就能添加
B:添加方法:登陆微信后,点击“朋友们”--》添加朋友:1、搜索号码中输入shifangzonghui直接添加
C:直接点击右上角-查看公众号-关注
公众号联系人微信号:bbfang,如有需要请添加! 中华房氏文化超级QQ群 67938565
房氏网主站: http://fang.org.cn
房氏网精神家园  http://bbs.fang.org.cn



查看完整版本: [-- 南陽房氏 族譜 --] [-- top --]



Powered by phpwind v8.7 Code ©2003-2011 phpwind
Time 0.720470 second(s),query:2 Gzip enabled